미국 주식은 수익이 얼마이상일때 세금을 내나요?
미국 주식을 이제 조금 하기 시작인데요 실현수익이 얼마 이상을 넘기면 세금을 내야하지 않나요? 그게 얼마이상일때 세금을 내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을 팔아서 얻은 수익이 250만원을 넘으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250만원 이하의 수익에는 세금이 없습니다. 수익이 250만원을 넘으면 그 초과분에 대해서 22%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단기자본 세율은 소득 수준에 따라 10%에서 37% 사이입니다.,
주식을 1년 이상 보유하고 판매하여 발생한 수익은 장기 자본 이득으로 간주됩니다. 장기 자본 이득세율은 소득 수준에 따라 0%, 15%, 20%입니다.
그냥 평균으로 20+2=22프로라고 보고 합니다 제 수준에서는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주식에 투자한 총액에서 수익금액이 원화러 250만원을 초과하게 되면
초과분에 대해 22%의 양도소득세가 과세됩니다
미국 주식을 한국에서 직접 투자로 한다면 매년 이상 250만 원 이상 수익이 발생하면 22%로 세금을 냅니다
원칙적으로는 우리나라 국세청에 직접 신고해서 5월달에 세금을 내야 하는데 보통은 이용하는 증권사에서 대행 서비스를 해줍니다. 그래서 대행 신청을 해 놓으면 그 대행 기관에서 얼마를 내라고 알려주고 다음 해 5월에 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미국 주식 등 해외 주식은 250만 원의 양도차익까지는 세금이 없고, 초과하면 초과분의 22%만큼 세금이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주식의 경우에는 매매 수익의 250만원까지 비과세이고, 25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22% 과세적용을 받습니다.
예를들어 1천만원의 수익을 얻었다면 250만원을 제외한 750만원에 22% 세금을 적용해 총 165만원의 세금을 납부하셔야 합니다.
양도소득세는 기본적으로 양도차익에서 필요 경비와 기본 공제 250만 원을 뺀 금액이 과세표준이 되고, 양도세와 지방세는 과세표준의 22%입니다.
예를 들어 양도차익이 600만 원이고, 기본 공제 250만 원을 적용하면 과세 대상 금액은 350만 원이 됩니다. 이에 22%의 세율을 적용하면 77만 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주식의 경우 한화250만원이상의 수익이 발생하면 세금을 납부해야 하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연 기준 250만원 이상 수익이 날 경우 세금이 부과됩니다.
250만원은 수익과 손실 모두를 포함하여 총 수익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250만원 실수익이 나게되면
양도소득세가 발생하고
20%+국세 2%로 총 22%입니다.
수익이 300이면 50만원에대한 22%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양도차익이 250만 원을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 22%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250만원까지 공제가 되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 22%의 세금을 내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에 직접투자하여 주식에 대한 시세차익을 발생했다면 연기준으로 발생한 수익에 대하여 250만원 이상일 때 250만원 초과하는 금액에 대하여 22%의 세율로 양도소득세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연간 순이익이 300만원인 이라면,
순이익중에서 250만원을 빼고 남은 50만원에 대해 22% 세율을 적용하여 11만원만 양도소득세로 납부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에 세금에 대한 내용입니다.
1년 동안 수익이 총 250만원 초과가 되면 22퍼센트를 내시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