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크화물 전용부두에서 하역지연이 발생하는 주요원인과 대처방안은 무엇인가요?
벌크화물 전용부두에서 하역이 지연되면 demurrage 등 비용 손실이 커지는데 이러한 지연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과 그 대응책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벌크화물 부두에서 하역이 지연되는 이유는 기상 악화나 장비 고장, 인력 부족, 선박 도착 일정이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항만은 하역 설비 노후화나 통관 절차 지연으로도 작업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줄이려면 사전에 선적 스케줄과 항만 혼잡도를 확인하고, 장비 점검과 추가 인력 투입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상 변수에 대비해 대체 부두를 확보하거나 임시 보관창고를 준비해 두는 것도 비용 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러한 지연은 여러가지 요인이 있으며, 하역장비의 부족, 인력의 부족 혹은 항구 자체의 문제 등이 있습니다. 말씀드린 이러한 원인들의 경우에는 미리 준비를 한다고 하더라도 기업 입장에서 해당 부분을 준비할 수 없기에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 차원에서는 미리 보험을 가입하여 이러한 지연에 대하여도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예상보다 하역이 늦어지면 진짜 속 터지는 상황이 벌어집니다. 특히 벌크화물은 특성상 흐름이 한번 막히면 줄줄이 연쇄 지연이 생깁니다. 보통 지연의 큰 원인 중 하나는 장비 부족입니다. 크레인이나 벨트컨베이어 같은 장비가 고장 나거나, 단순히 수량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날씨도 한몫 합니다. 강풍이나 폭우 땐 안전 문제 때문에 작업이 중단되니까요. 또 하나는 서류 지연인데, 통관 서류나 검사 절차가 제때 안 끝나면 장비가 대기만 하게 됩니다.
그럼 어떻게 막을 수 있느냐가 문제인데, 제일 기본은 선적 전에 하역계획을 미리 정밀하게 짜는 겁니다. 선사랑 부두 운영사, 하역업체가 미리 공통 스케줄을 잡아야 장비 배정도 제때 됩니다. 그리고 통관 서류는 가능한 한 선적 전에 준비해두고, 기상 상황은 예보 단계에서부터 모니터링하면서 위험 시간대는 피해 도착하도록 조정하는 게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