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현미경은 누가 언제 개발했나요?
전자현미경을 개발한 사람은 누구이고 최초의 전자현미경은 언제 나왔나요?
기존의 광학 현미경과 전자 현미경은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전자현미경은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루스카(Ernst Ruska)와 전기 기술자 막스 놀(Max Knoll)이 1931년에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전자 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에 비해서 훨씬 정밀하기 때문에 DNA, 나노입자, 반도체 회로 등을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자현미경은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루스카가 1931년에 개발했습니다. 광학 현미경은 가시광선을 이용해 물체를 확대하지만 전자현미경은 전자빔을 이용해 훨씬 더 높은 해상도로 미세 구조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광학 현미경은 최대 수백 배 확대가 가능하지만 전자현미경은 수십만 배까지 확대할 수 있어 세포 내부 구조나 바이러스, 원자 단위 관찰이 가능합니다.
전자현미경의 개념을 처음 창안한 사람은 헝가리의 물리학자인 '실라르드 레오'입니다.
그리고 베를린 공과대학의 루스카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이 개발에 착수하여 1939년 독일의 지멘스사에서 세계 최초로 전자현미경이 시판되었습니다.
기존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의 가장 큰 차이점은 광원입니다.
광학 현미경은 가시광선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반면,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사용하는 렌즈도 다릅니다. 광학 현미경은 빛을 굴절시키는 유리 렌즈를 사용하는 반면,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을 제어하기 위해 자석 렌즈를 사용하죠.
전자 현미경은 전자빔의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광학 현미경보다 훨씬 높은 배율에 높은 분해능을 가집니다. 즉, 광학 현미경은 일반적으로 최대 1,000배 정도의 배율을 갖는 반면, 전자 현미경은 수만 배에서 수십만 배까지 확대가 가능한 것이죠.
그래서 광학 현미경은 주로 세포나 조직 등 비교적 큰 구조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전자 현미경은 바이러스나 DNA, 원자 등 매우 작은 구조를 관찰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전자 현미경의 결과 이미지는 흑백으로만 볼 수 있는데 색상이 입혀진 것들은 모두 후보정이 들어간 이미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