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23.12.07

자폐도 유전적인 요인에 해당되는건가요?

나이
38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자폐도 혹시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건가요?

자폐에 관해 얘기를 들었는데 유전적인 요인인지 아니면 또 다른 요인이 있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병관 의사입니다.


    후천적인 것보다는 선천적인 문제이고 가족력도 많습니다. 유전적인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지만, 아직 자폐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영역이 많습니다.


    양육을 잘못해서 자폐가 되는것은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자폐증은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적인 영향에 추가적으로 환경적인 자극이 문제를 유발하게 됩니다. 임신 중독증이나 바이러스 감염, 약물 사용 등이 문제가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자폐중 아주 일부에서 유전적인 소인이 발견되기는 하지만 극히 일부이며 자폐의 원인을 설명할 때 유전은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는다고 보는게 맞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자폐의 경우도 유전적 영향은 분명 존재합니다.

    그렇지만 부모가 자폐가 있다고 하여 꼭 자녀에게 전해지는 것은 아니며 후천적 또는 선천적 환경의 영향또한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개인적인 생각으론

    자폐의 경우, 뇌의 기질적 원인으로 인한 질환으로 보기 때문에

    유전적 성향을 무시할 수는 없을 듯 합니다.

    +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진 것이 없을 듯 하네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발병과 관련된 요인은 임신 전, 중, 후에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일부 유전 질환과의 연관성이 있으며, 모체의 자가면역 질환과 관련된 요인도 있습니다. 모체의 감염, 모체의 고열 및 염증, 약물 (예: 발프로익산, 탈리도마이드, 미소프로스톨, SSRI 등), 그리고 환경적 요인 (예: 살충제, 대기 오염, 미세먼지)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관성 중 일부는 아직 확실하게 입증되지 않았으며, 다른 요인들과의 혼동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병인과 발병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입니다. 더 많은 연구와 역학 자료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과 예방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인 질문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 자폐증의 정확한 발병 원인을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습니다. 그렇지만 유전적인 요인이 있으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