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언제나주목받는기술자

기다리지 못하는 아이, 참을성이 없는것으로 보는게 맞나요?

참을성이 없는 아이, 기다리는것도 지루해하고, 잠시를 버티지 못하고 움직임이 많은데 어떻게 해결해주는게 좋은걸까요? 어려움과, 기다림을 주는게 맞는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다리지 못하는 아이, 참을성이 없는 것으로 보는게 맞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참을성이 부족하고 기다림을 어려워하는 아이에게는 강압적인 훈육보다는 자기조절 능력을 자연스럽게 키울 수 있는 환경과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충동적 행동은 기질적인 특성일 수 있으며, 성장을 통해 점차 조절 능력이 발달합니다. 따라서 기다림을 강요하기보다는 놀이를 통해 기다림을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아이의 인내심을 키우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인내심을 약화시키는 피로, 불안, 강박, 기대치 등의 요소를 제한합니다.

    아이가 실수를 성장의 기회로 삼을 수 있도록 가르칩니다.

    분배 작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쪼개서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작은 성공에도 축하해줍니다.

    집중력을 강화하는 연습을 시킵니다.

    실수를 고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아이의 노력과 과정을 칭찬해줍니다.

    긍정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격려해줍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기다리는 것을 지루해 하고, 잠시 버티다 움직임이 커지고, 참을성이 부족한 이유는

    아이의 기질적인 부분의 원인이 커서 입니다.

    즉 아이는 산만한 기질 + 집중력이 부족함이 크기에 그 잠깐의 기다림이 지루하고, 따분하고, 힘들어 하는 것입니다.

    아이에게 알려 줄 것은 잠시의 기다림도 필요로 하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는 부분이 필요로 합니다.

    또한, 아이의 산만함과 집중력을 길러 주기 위해서는 '

    '정적인 활동을 통해 도움을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정적인 활동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책읽기, 그림그리기 및 색칠하기, 컵쌓기, 스티커 붙이기, 퍼즐 맞추기, 블럭놀이.

    다양한 보드게임, 종이접기 등이 있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참을성은 훈련을 통해 서서히 길러지는 능력입니다.

    짧은 시간부터 기다림 연습을 시작하고, 성공할 때마다 칭찬과 보상을 주는 게 효과적입니다.

    강한 통제보단 놀이, 게임처럼 흥미로운 방식으로 기다림을 경험하게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기다림이 어렵다고 해서 꼭 참을성이 부족한 건 아닙니다. 아직 발달 단계상 '기다림'의 개념이 충분히 익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억지로 기다리게 하기보다 짧은 시간부터 연습시키고, 기다린 후 좋은 일이 생긴다는 긍정적 경험을 주는게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윤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일부러 기다림과 참을성을 주실필요는 없지만 그런 상황이 생긴다면 그것을 해내었을때 적절한 보상과 칭찬이 주어진다면 더 인내하고 참을수 있게될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기다리지 못하는 것은 참을성 부족만이 아니라 발달 단계의 자연스러운 특성일 수 있습니다.

    짧은 시간부터 조금씩 기다리는 연습을 시키면서, 성공 경험을 쌓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다림을 줄 때는 보상이나 관심을 적절히 연결하여 동기부여를 주면 효과적입니다.

    강제로 오래 기다리게 하는 것보다는, 점진적 및 긍정적 방법으로 참는 힘을 길러주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