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 가시 제거 6주후 갑자기 통증발생
안녕하세요. 6주전 우산살을 고치다 손가락에 유리섬유가박혀 가정의학과를 가서 제거후 다음날 염증반응이 있어 다시제거했습니다 두번째 치료때 깊숙히 박혀있어서 핀셋으로 많이헤집어놨고 그후 열감과통증으로 정형외과 방문하여 재진료를 봤습니다. 엑스레이상에 보이는 것이 없고 유리섬유라 피가 있어 잘 보이지 않지만 잘 아문다면 잔해는 없는것이라 괜찮다 지금 통증은 너무 깊게 손상이생겨 있는것이라하며 2주정도 왔다갔다하며 진료를봤는데요. 달 아물고 눈에보이는 특이사항도 없다고 했습니다. 그후 잘지내다가(6주동안 통증 없었음) 엊그제 해당 손가락으로 분리수거하다 햇반그릇의 뭉톡한 모서리로 꾸욱 눌렸는데 아프더라구요. 그제서야 아 다쳤던 손가락이지 했는데 인식되면서부터 통증이 있는것만 같더라구요. 반대손가락으로 꾹 누를땐 통증이 없고 떼고나면 2초뒤 살짝 자극이옵니다. 손가락에 염증반응도 딱히없어서 진료를 오늘 봤는데, 자극이 갑자기 생겨서 상처조직이라 통증이 생길걸수도있다고 하시더라구요.
혹시 잔여물이 남아서 생기는 통증이면 어떡하죠? ㅜㅜ
선생님이 유리섬유라 염증이 잘안생긴다고 하셨는데 염증반응, 붉게올라오거나 진물이나오면 수술적인 방법밖에 안남았다고 근데 변형이생길수있다해서 너무 걱정되요
6주간 안아팠다가 아픈거면 일시적인거겠죠? 잔여파편이있다면 진작에 아프고 염증반응이 났겠죠? 상처가 6주지나도 아직 새살이 다 안차서 그런걸수도있나요? 새살이나서 그런지 다른손가락보다 좀더 감각이 예민해진거같은대 그래서 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6주간 통증 없이 잘지냈다면 잔여 유리섬유 가능성은 매우 낮고 최근의 통증은 자극에 의한 일시적 신경 반응일 수 있습니다 손끝 부위는 새살이 올라오는 과정에서 감각신경이 예민해질 수 있습니다. 약간의 눌림에도 통증이 생깁니다. 염증 반응이 없다면 수술적 제거까지는 필요 없으며 관찰하며 경과를 지켜보셔도 됩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 가시 제거 이후 6주가 지나 갑자기 통증이 다시 생겼다면 단순한 상처가 아닌 지연성 염증 또는 2차적인 조직의 손상일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이물질의 잔존으로 인한 통증 및 부위가 붉어짐이 발생할 수 있고 또는 만성 염증 또는 조직의 유착으로 인해서 상처가 발생했을 수도 있으며 2차 감염이나 혹은 신경의 자극 또는 경미한 신경손상등에 의해서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정확한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시어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시고 상태에 맞는 치료 및 처치등을 받아보시는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빠른 쾌유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재민 재활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올려주신 내용 잘 확인 하였습니다. 걱정이 많이 되시겠습니다. 하지만 글쎄요, 해당 사진 소견만 놓고 정확한 상태 파악 되지 않으며 특별히 보이는 것도 없어 병원 내원하셔서 직접 병변 보여주시고 진료보시는게 맞겠으며, 정형외과 가보시는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손가락 가시를 제거하고나서 6주정도의 시간이 지났는데 갑자기 통증이다시 생겼다면 염증이나 남아있는 이물질로인해서 생기는 문제일수있으니 가까운 정형외과를 방문해 전문의와 상담을 받아보는것이 도움이될수있습니다
빨리 몸이호전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록 물리치료사입니다.
우선 현재로썬 속에 잔여물이 남아있는지 초음파 검사 또는 정밀 검사를 해보시는게 좋습니다.
만약 잔여물이 안남았고 잘 아물었다면 상처조직에 대한 잔통으로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상처 부위 조직에 새살이 돋고 회복이 되면서 감각 신경이 예민해져서 그럴수도 있습니다.
현재 다행히 이상 반응은 없기에 너무 걱정마시고 우선 좀 더 정밀 검사를 해보시고 필요에 따라 다른 병원(정형외과, 외과, 피부과 등)에 내원하시는것도 고려해보시길 바랍니다.
건강히 회복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신경자극에 의해 손가락 부상 부위가 과민되어 있거나, 이전에 박혔던 섬유가 안에서 남아 염증이 되는 경우등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은 관련 검사와 진료를 통해 파악 후에 필요한 조치를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외관상으로는 크게 문제점이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