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하를 시작하고 얼마나 있다가 증시가 오르나요?
보통 금리인하 직후에는 무조건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네요. 얼마쯤뒤에 주식을 사야 손해를 보지 않고 반등시점에 살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정확한 시점은 없습니다.
금리인하를 한다고 하더라도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한참 뒤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 등 하기에 무조건 어느 시기 이후에
반등을 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금리인하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와 장기적으로 다를 수 있습니다.
금리인하 발표 직후에는 시장이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일부 투자자들이 추가 경제 지표나 기업 실적을 기다려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금리인하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상적으로 몇 주에서 몇 달 내에 주식시장이 반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가 낮아지면 대출이 용이해지고 기업 자금 조달 비용이 줄어들어 기업 실적 개선이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금리인하 직후에는 주가가 하락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주식 매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반응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금리인하 외에도 경제 지표와 시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인하 이후에 주식시장이 반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업종별로도 편차가 큽니다.
보통은 말씀하신대로 하락 후에 우리나라 금리발표 이후 해당 금리인하가 유의미할 경우에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이지는 않지만 과거의 예를 보면,
금리 인하 효과가 실물 경제에 영향을 주는데 대략 6-18개월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그러나 주식 시장은 이를 미리 반영하여 더 빨리 반응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은 경기의 6개월 선행) 따라서 금리인하에 대한 시장기대감이 형성되고 실제 인하후 부터 1년 이후에나 상승 흐름이 나타나지 않을까 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금리 인하가 되고 얼마나 있다가 증시가 오르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금리 인하가 되더라도 실제로 증시나 다른 자산 시장에 반영되는 것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