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진리의 샘
진리의 샘23.03.11

뱅크런이 일어나는 원인이 무엇인가요?

경제 뉴스를 보면, 뱅크런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왜 뱅크런이 일어나는 것인가요? 원인이 무엇이며, 뱅크런 사태를 막기 위한 대책은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은행 재직 중으로 해당 질문에 대해서 답변 드리도록 할게요.

    은행은 고객 예치한 예금을 재원으로 하여 대출을 하거나 혹은 다른 투자를 해서 수익을 창출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수익금을 통해 고객이 맡긴 예금에 대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하게 됩니다. 하지만 만약 대출이 부실화가 발생하거나 투자를 했던 상품의 손실이 커 회수가 힘들어지게 되는 경우 은행들은 예금을 맡긴 고객에게 돌려줘야 할 돈을 회수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시 한 명의 대출 부실화가 발생하는 경우는 다른 예비금으로 지급하지만 다수의 대출 부실화나 고액의 대출 부실화가 발생하면 고객들은 은행이 예금을 돌려주지 못할 수도 있게 됩니다. 그럼 고객들은 본인들이 맡긴 예금을 찾지 못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불안감의 상태가 고조되면 은행에 한 번에 돈을 찾아가려는 사람들이 몰리게 되고 이런 사태를 '뱅크런'사태라고 부르게 됩니다. 뱅크런사태가 발생 과정을 예시를 통해서 말씀드릴게요.

    • A저축은행은 고객에게 예금 100억원을 받아서 예치

    • A저축은행은 고객의 자금을 PF대출에 투자

    • PF대출의 연체와 부실화 가능성이 언론에 이야기 되기 시작

    • 고객 B는 불안한 마음에 A저축은행에 맡긴 예금을 해지

    • A저축은행은 PF대출을 회수해서 B에게 돈을 지급하려고 하나 PF대출이 부실화가 되어서 돈을 회수하지 못함

    • 고객 B에게 줄 돈을 여러가지 이유를 대면서 지연

    • A저축은행의 돈 지급이 미뤄지는 이야기가 퍼져나감

    • A저축은행에 돈을 맡긴 고객이 전부 몰려와서 돈을 찾아가려고함

    • A저축은행은 돌려줄 돈이 없어서 결국은 파산

    이러한 뱅크런 사태를 막기 위해서 만들어진 제도가 '지급준비율'제도이며, 지급준비율 제도라는 것은 시중은행이 고객이 맡긴 예금 중의 일부를 중앙은행에 예치해두도록 만든 것입니다. 추가적으로 은행의 건전성을 위해서 BIS비율이라는 것을 설정해두고 있는데 BIS비율의 관리를 통해서 향후 은행 대출의 부실화가 발생하더라도 뱅크런 사태를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자본을 가지고 있도록 제한할 수 있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은 다수의 고객이 은행에서 예치금을 인출하여 은행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지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은행 운영은 일반적으로 인출금 지급과 같은 은행의 의무 이행 능력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인해 발생합니다. 뱅크런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는 충분한 자본준비금 확보, 금융안정에 대한 높은 평판 유지, 고객예탁금 보호를 위한 예금보험 제공 등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또한 위기에 처한 은행에 유동성 지원을 제공하는 최후의 대부자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과 같은 경우에는 금융기관에 대하여 불신으로 인하여

    일어납니다.

    해당 금융기관의 건전성 등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고객의 비용등을 기업에게 빌려주고

    그걸로 이자를 받거나 재투자가치상승으로 사용하는데

    기업이 파산하거나해서 비용회수가 안되거나

    악재로 저축했는 고객들이 일시적으로 대량 출금할 경우 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뱅크런(Bank Run)'은 고객들이 은행에서 예금을 인출하기 위해 몰려드는 현상을 뜻합니다. 경제가 나빠져 금융시장에 불안감이 감돌거나, 은행의 건전성에 불신이 생겼을 때 발생하곤 합니다. 일례로 우리나라도 2011년 2월 17일 부산 저축은행에서 벌어진 뱅크런으로 결국 뱅크런을 감당하지 못하고 2011년 2월19일 영업정지 처분을 받아 사실상 파산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뱅크런은 금융 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적인 충격으로 인해 은행이나 금융 기관이 파산하거나 재무적인 문제로 인해 신뢰성을 잃어버리는 현상을 말합니다.

    뱅크런이 발생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은행 내부에서 부정한 활동이나 부실 대출 등으로 인한 자산 상실, 금융 시장의 쇠퇴, 금리 변동, 신용 위험의 증가, 투자자들의 대규모 인출, 국가 경제의 불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또한 금융 시스템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금융 제도나 규제에 대한 미숙함이나 모순, 금융 기관 간의 복잡한 연결 구조 등으로 인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뱅크런을 예방하려면,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금융 기관 간의 연결 구조를 단순화하고, 금융 제도나 규제를 개선하여 금융 시스템의 위험 요소를 최소화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