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승윤 축복
승윤 축복

알리 테무 등 중국의 쇼핑몰에서 주문하면 배송비를 한국에서 지불하는 것인가요?

얼마전에 뉴스에서 보니 중국 쇼핑몰에서 주문 할 경우 배송비를 한국에서 지불한다고 해서 이해가

가지를 않았습니다. 왜 다른나라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물건의 배송비를 대신 내주어야 하는 것이지요?

시스템 등이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질문자님이 택배를 주문하실 때에도 택배비를 질문자님이 납부하시는 것처럼 동일하게 해외 직구 사이트에서도 물품을 직구하여 수입하는 경우 물품의 운송비를 구매자가 부담하는 경우도 있는 것입니다. 판매자의 전략에 따라서 해당 운송비를 판매자가 지불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그러한 경우에도 결과적으로 물품 가격에 운송비가 포함되므로 구매자가 운송비를 부담하는 것이 맞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UPU 협약은 국제 우편물 거래에 적용되며, 발송 우체국은 운송비용을 부담하고 도착 우체국이 배송비용을 책임지지만, 배송국 우체국이 손실을 보지 않도록 '배달국 취급비'가 있습니다. 회원국은 우편 발전지수(PDI)에 따라 등급을 나눠 정산 요율을 적용하고 있으며, 미국은 1그룹에 속하고 중국은 3그룹에 속해 있어 배송료가 다릅니다.

      이로 인해 미국 정부가 UPU 탈퇴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중국 기업들은 저렴한 국제배송료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배송기간과 실시간 추적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UN산하기구 중 만국우편연합(UPU, Universal Postal Union)은 발달도상국이 발달된 국가로 우편물을 보낼 때 발생하는 우편배달비용을 선진국이 부담하는 협약입니다. 이 협약에 따라 발송 국가(중국)는 수신 국가(한국)까지의 운송비용만을 부담하며, 도착 후 발생하는 국내 배송 비용은 수신 국가(한국)의 우체국이 책임지게 됩니다. UPU 회원국은 경제 수준에 따라 1그룹(전통 선진국), 2그룹(신진 선진국), 3그룹(개도국)으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하위 그룹 국가가 발송하는 우편물의 배달비용을 상위 그룹 국가가 부담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한국인이 알리 의사소통 플랫폼에서 물건을 주문할 때 발생하는 국내 배송비는 한국의 우정사업본부에서 국민 세금으로 지원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는 국제우편협약에 따라서 개도국의 경우에는 낮은 우편요금을 선진국의 경우에는 높은 우편요금을 책정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중국의 우편비용이 1천원이라면 한국은 3~4천원, 미국은 1만원 이런식으로 책정이 되게 됩니다. 따라서 중국의 운송이 많아질수록 타국가에서 이러한 비용을 보전하기에 한국에서 지불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알리의 배송비가 싼 이유는 만국우편연합(Univesal Postal Union) 협약을 악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배송료를 낮게 받거나 안 받으면서 낮은 상대국 취급비를 이용해 부담을 떠넘기는 것이고 불편한 진실은 이게 민간 택배 서비스가 아니라 우체국 서비스라서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격 메리트가 있겠지만 결국 공공 서비스에 무임승차하는 셈입니다. 배송료 무료가 아니라 우체부 아저씨들이 받아야 할 임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 관세사입니다.


      모든 품목을 한국에서 지불하는 것은 아닙니다.


      만국우편협약에 의해 우편으로 배송되는 물품은 국내 도착 후 구매자에게 배송되는 비용을 우리나라에서 지불하게 됩니다.


      이는 협약에 의해 선진국이 후진국 배송비를 부담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으로 분류되어 있고 중국은 후진국으로 분류되어 배송비용을 부담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중국 상거래플랫폼인 알리바바와 테무는 다양한 판매자가 입점하는 사이트로, 각 판매자는 배송비 정책을 자율적으로 정하기 때문에, 상품마다 배송비 지불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즉, 물품마다 배송비 및 배송방법, 배송기간이 다를 수 있으며, 이를 정확히 확인하시는 편을 권고드립니다. 즉, 배송비를 선불 또는 후불로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만국우편엽합에 관한 내용을 문의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래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eekly.donga.com/economy/article/all/11/4621450/1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손해액이 그리 크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https://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6017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