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7.15

조선시대에는 혼인 제도가 어떻게 되었나요?

현재 제도는 만 18세부터 혼인을 할 수 있지만,

민성년자이기 때문에 법정대리인의 동의가 있어야 혼인신고가

가능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과거 조선시대의 혼인제도는 어떠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법적 혼인가눙한 나이는

    남자 15세, 여자 14세 이다.

    만일 부모중 한사람이 지병이 있거나 쉰 살이 넘었다면

    12세만 되면 결혼이 가능했다.

    현제의 시각으로 보면 아주 빠른 조혼이다.

    그러나 실제 혼인을 한 나이는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혼인제도가 궁금하군요.

    조선의 혼인 제도는 17세기까지 남자가 여자 집에 의탁하는 '남귀여가혼'을 따랐다고 합니다.

    혼인하면 남자는 처가에 들어가 (장가를 간다) 살았습니다.

    신혼 살림을 꾸리고 살다가 아이를 낳고 아이가 크면 시댁으로 들어갔습니다.

    고려 때부터 전해오던 혼인 풍습으로 성리학을 표방했던 조선 전기까지 지속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법적으로 혼인이 가능한 나이는 남자 열다섯 살, 여자 열네 살이었는데, 만일 부모 중 한 사람이 지병이 있거나 쉰 살이 넘었다면 열두 살만 되면 결혼을 시킬 수 있었다고 합니다.

    https://ncms.nculture.org/ceremonial/story/1652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는 일부일처제로 정실 부인 외에는 첩으로 여겼습니다.

    또한 양반은 이혼을 할 수 없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혼인제도는 17세까지 남자가 여자 집에 의탁하는 남귀여가혼을 따랐으며 혼인하면 남자는 처가에 들어가 살았으며 신혼 살림을 꾸리고 살다가 아이를 낳고 아이가 크면 시댁으로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의 결혼 제도는 오늘날과는 매우 달랐습니다. 조선 시대에는 결혼이 개인이 아닌 가족 간의 결혼이었으며, 결혼 연령도 낮았습니다. 예를 들어 19세기 초의 평균 결혼 연령은 남자 15세, 여자 13세였습니다. 결혼에 대한 법적 최소 연령도 없었고, 부모나 친척의 결정에 따라 더 어린 나이에 결혼할 수도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법적으로 혼인이 가능한

    나이는 남자 열다섯 살, 여자 열네 살

    이었습니다. 하지만 부모 중 한 사람이 지병이 있거나 쉰 살이 넘었다면

    열두 살만 되어도 결혼을 시킬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