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빚은 어느정도 인가요 정말 많은가요?
우리나라에서 외국에서 빌린돈도 많다고 들었는데요
우리나라의 빚은 어느정도가 되는가요 외국과 비교해서
안정적인건지 자세히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국가 부채는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으로 약 1,100조 원에 달하며, 이는 GDP 대비 약 55.2%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부채 증가는 고령화, 복지 확대, 경제 위기 대응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국제적으로 비교하면, 일본의 부채 비율은 GDP 대비 260% 이상, 미국은 120% 이상으로 우리나라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부채 증가 속도가 빠르고,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가계와 기업의 부채를 포함한 총부채는 GDP 대비 273.1%로 높아, 전체적인 부채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 외국에서 빌린 돈, 즉 대외채무에 대해서도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대외채무는 GDP 대비 38.7%로, 중국(13.8%)보다는 높지만 프랑스(252.2%), 독일(151.5%), 미국(95.0%)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입니다. 이는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 등 건전성 지표가 양호한 편임을 시사합니다. 종합하면, 현재 우리나라의 부채 수준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증가 속도가 빠르고 가계와 기업 부채가 높아 지속적인 관리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고령화와 복지 지출 증가로 인한 재정 부담을 고려하여 중장기적인 재정 계획 수립이 중요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국가 채무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의 2023년 기준 채무는 1,126조 7,000억원으로
이는 GDP 기준으로 50퍼센트 수준인데
다른 나라보다는 분명 낮은 편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국가 채무의 경우 약 1,044.7조원으로 GDP 대비 49.7%입니다.
타국과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며 미국의 경우도 31.41조 달러로 GDP대비 79.2%, 일본 약 1경 3,700조 GDP대비 약 256.23%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국가 채무 비중은 GDP 대비 약 50% 수준입니다. 이는 150%에 육박하는 미국이나 250%에 육박하는 일본과 비교했을때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재무 건전성은 양호하다고 볼수 있으나 어떻게 보면 우리 나라가 상환할 능력이 부족해서 많이 빌리지 않은 것일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의 국가채무는 약 1,089조 원에 달하며, 이는 GDP 대비 약 50% 수준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가계부채는 GDP 대비 약 105%를 기록하며, 이는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빚이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정권이 바뀌면서 계속 빚이 증가 한다고 하며, 이렇게 증가되는 빚은 추후에 문제가 될 수 있어, 재정을 계획적으로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좋겟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국가 채무는 약 1,200조원입니다 GDP 대비 50% 정도고요 주변 선진국들에 비하면 매주 매우 낮은 편입니다 독일 60% 프랑스 98% 미국 108% 일본 234%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국가 채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2022년에는 1천67조4천억원, 2024년에는 1천195조8천억원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GDP 대비 국가 채무 비율은 2024년에 47.4%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IMF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상황은 다른 나라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안정적입니다.
2024년 우리나라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 비율은 55.6%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는 선진국 13개 비기축통화국 중 세 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의 GDP 대비 일반정부 부채비율은 100%를 훌쩍 넘어 우리나라보다 높은 수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