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비범한애벌래228
비범한애벌래228

승부욕이 너무 강한 우리 아이 바꾸는게 좋을가요?

승부욕이 우리아이가 너무 강합니다.

적당한게 항상 좋은데 너무 강해서 걱정이네요.

승부욕 강한 우리아이 바꾸는게 좋을가요?

공부쪽으로 승부욕이 생기도록 유도를 해야할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결과보다 과정의 중요성을 알려주는것이 좋습니다

      이런 승부욕의 경우 강압적인 부분이나 아이에게 결과위주의 칭찬을 한것이 요인이되서 나타날수있기에

      잘하는것보다는 열심히하고 과정을 마무리한것에 대해서 칭찬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너무 과해서 문제가 된다면 승부욕이 매우 강한 아이는 칭찬과 보상을 활용해서 행동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면 됩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아이들이 놀이에서 이기고 싶은데 졌을때, 잘 참는 모습을 보인다면 칭찬 스티커를 한 장씩 붙여주는 겁니다. 그리고 칭찬 스티커가 일정 개수 이상이 모이게 되면 아이에게 아이가 원하는 보상 즉, 선물을 한 가지씩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죠.

      이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최종 포상을 받을 수 있는 스티커의 개수가 너무 적게 잡아버리면 선물을 너무 자주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활동에 효과가 줄어들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간혹 아이들이 선물을 받기 위한 연기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보상받는 수치를 스무 개 정도로 잡아 놓으시고 하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께서 평소에 아이들에게 승부에 얽매이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예를 들면 누가 먼저 씻나 보자, 누가 먼저 먹나 보자, 누가 먼저....이런 말들은 아이의 승부욕을 자극하기도 합니다.

      게임, 놀이, 운동 등은 즐겁고 재미있는 활동이지 상대방을 이기기 위한 활동이 아니라는 것을 자주 이야기를 해줘야 할 것 같아요

      아이의 경쟁심이 도를 지나친다고 생각하시면 승패를 나누는 활동 보다는 함께, 어울려서 협동할 수 있는 놀이들을 시켜 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승부욕이 강하면 좋은 점도 있지만

      결과에 집착하는 아이가 될 수 있어 경계해야 합니다.

      아이에게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시 하도록 가르치세요.

      아이가 실패하더라도 과정에 대해 칭찬해주시고, 잘했다고 말해주세요.

      그리고 결과에 따라 부모의 반응이 달라지면 아이도 승부에 집착하게 되니

      최대한 같은 반응을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든 사람을 다 이길 수 없고 내가 약점인 분야는

      스스로 인정하여야 한다고 알려주세요.

      세상에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것을 알려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승부욕을 조금은 줄여주셔야 아이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굳이 안바꾸셔도 되겠으며 아이가 충분히 말귀를 알아 듣는 나이이기 때문에 경쟁에서 무조건 이겨야만 하는게 아님을 설명해는 정도로만 해주세요. 계속 설명하다보면 아이도 어느정도 부모님의 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또, 저희 아이도 승부욕이 강해서 저와 대결해서 지는 경우에 항상 눈물을 흘리곤 해서 저도 내심 걱정했었는데 친구들과는 또 그렇지는 않더라구요, 부모님이 편하고 받아주는 존재임을 알기에 아이가 그런 반응을 보이는 것일 수 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리 아이가 승부에 집착하는 이유는 무엇일끼요?

      그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아이가

      타고난 성향과 더불어 생활환경에 따라 원인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외동이거나 형제자매들 중 막내인 경우에는 의도적으로

      부모가 아이와 게임을 하거나 놀이을 즐길 때 져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실패한 경험이 적을 뿐더러 자신에게

      유리한 룰과 환경에서 게임을 이겼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서 또래와 놀이를 할 때에

      쉽게 어울리지 못하고 적응하지 못해

      게임의 승패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입니다.

      적절한 상담과 조정을 통해 아이의 승부욕 조절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가까운 상담기관 방문 등을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승부욕이 강해서 고민이라고 하신다면

      승부욕이 없도록 바꾸는 것보다는

      공부쪽으로 성적을 올리면 보상을 주는 방향으로

      내기 비슷하게 승부욕을 자극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몇살인지 모르겠네요

      아이들이 승부욕이 강하다고 하신다면

      놀이를 할때 승부를 가리는 놀이보다는

      협동을 해서 같이 승리하는 놀이를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누구를 이겨야만, 무엇을 잘해야만 자기 자신의 존재감을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존재 자체만으로도 가치 있다는 것을 알게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무엇이든 잘해야만 한다, 누구든지 이겨야만 한다라는 비합리적인 신념을 수정해 주세요. 또 건전하고 바람직한 경쟁을 통해 아이의 승부욕을 적절하게 자극하여 학습이나 다른 활동에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