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와 금리인상의 관계에 대해서 질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른다고 알고있습니다.
근데 물가를 잡기위해서 금리를 올리잖아요(물가가 과도하게 오르면 금리인상으로 물가를 잡음)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르는데, 인위적으로 금리를 더 올려서 물가를 잡는건가요??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르는데 그걸 더 올린다는 말인건지.. 헷갈려서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금리를 올립니다. 금리를 올리면 소비를 덜하게 됩니다. 이것은 기본 이론이고
현 실정과는 잘 맞지 않습니다
금리를 올리면 부유층은 예적금이자를 많이 받기 위해 저축을 하고, 대출이 많은 사람은 소비를 못하게 되죠
이자부담이 높아지니,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이를 잡기위해 금리를 올려서 돈줄을 조이며 시장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인위적으로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아가는 것이고 이 방법이 물가 하락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면
정부의 직접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금리가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중앙은행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금리를 인위적으로 더 올립니다. 금리를 올리면 돈 빌리기가 어려워져서 소비와 투자가 줄고 그래서 물가가 안정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물가가 오르면 인위적으로 금리를 올려서 시중의 통화를 줄임으로써
물가를 잡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와 금리의 관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부터 정확하게 아셔야 합니다.
물가가 오른다는 것은 현금의 가치가 내려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현금의 가치를 다시 올리기 위해선 시중에 있는 현금이 적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와 금리의 관계를 논리적이고 시계열로 설명하기는 힘듭니다.
코로나19판데믹 이후 시중에 엄청난 유동성이 풀리면서 주식, 부동산 등 자산 가치가 급등했습니다. 아울러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중동 국지전 등으로 곡물, 원유 같은 필수재 가격이 급등했고 주요한 필수 자원 보유국들이 자원의 전략자산화를 추진하면서 글로벌 물가 상승의 단초를 제공했습니다.
여기에 세계의 공장 역할을 한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으로 가성비 좋은 중국산 확산이 쉽지 않게 되면서 공산품 물가도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고물가 상황에서 경기침체 리스크까지 있다 보니 미연준에서는 금리를 급격히 올려 수요를 억제하여 물가를 제어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보면 금리와 물가의 관계는 1:1의 논리적 관계라기 보다는 대내외 경제 상황에 맞게 금융 당국이 선택하는 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금리와 물가의 상관관계는 쉽게 이해하여 은행의 금리가 올라가면 사람들은 은행에 돈을 더 많이 예치하게 됩니다.
그럼 소비가 줄어들고 상품의 공급은 많은데 수요가 없으니 물가가 떨어지게 됩니다.
또한 기업들도 역시 투자를 줄이게 되면서 전체적인 통화량이 줄어들게 되고 물가의 안정을 도모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면 인플레이션의 공포가 커지기 때문에 그전에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잡으려고 하는 것인데요.
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적어지는데(금리 인상에 따라 대출도 줄어들기 때문) 그렇게 돈이 줄어들면 소비심리가 약해져, 수요와 공급 법칙에 따라서 수요가 줄어 물건 가격이 내릴 수 밖에 없어지기 때문에 물가가 안정화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물가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이 어려워지고 소비가 감소하며 경기가 위축되어 물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물가를 안정화시키는 정책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물가를 조절하기 위한 정책적 결정으로, 인위적으로 물가를 조절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