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럭셔리한진도개74
럭셔리한진도개7424.04.19

성인 천식 질문드립니다 호흡기내과 검진

나이
31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기흉(양쪽다 수술) 폐렴도 걸렸었음

천명음 소리가 자주 들리고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멎히는 느낌이 자주 들어서 숨을 크게 들이쉬고 내뱉어야함

공황장애 오는 느낌 그리고 흡연 술 다 안하지만 가래가 굉장히 많이끼고 쉰소리도 남

여러가지 진료해보시더니 천식이 있는 것 같다고 근데

정확히 진료를 보기위해서는 검사를 해봐야한다는디 어떤 검사를 해봐야 할까요? 그리고 천식이 생기면 뭘 어떻게 해야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기흉과 폐렴의 병력이 있는 상태에서 천명음, 가슴 답답함,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천식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천식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검사, 알레르기 검사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증상과 병력, 신체 진찰 결과를 종합하여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천식으로 진단되면, 증상 조절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천식 치료의 목표는 증상을 최소화하고, 정상적인 활동을 유지하며, 급성 악화를 예방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흡입 스테로이드제, 지속성 베타2 항진제 등의 조절제와 속효성 베타2 항진제 등의 증상 완화제가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금연, 알레르겐 회피, 규칙적인 운동 등의 생활습관 개선도 천식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정기적으로 의사와 상담하며 천식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기흉 수술 및 폐렴의 과거력이 있으시고 현재 천명음, 가슴의 답답함, 숨을 깊게 쉬어야 하는 증상, 가래와 쉰소리가 나는 경우에는 호흡기 질환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평가가 필요합니다. 천식을 비롯한 호흡기 질환은 적절한 진단 후 효과적인 관리가 가능합니다.

    폐기능 검사(Spirometry): 이 검사는 호흡의 힘과 폐 용량을 측정하여 기도의 좁아짐 정도를 평가합니다. 때로는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한 후 검사를 반복하여 천식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피크플로우 측정(Peak flow monitoring): 폐의 최대 호기 흐름속도를 측정합니다. 천식 환자에서는 이 값이 변동이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기관지 유발 검사(Bronchoprovocation test): 기관지 과민성을 평가하기 위해 특정 물질을 흡입하게 하고 폐기능 변화를 측정합니다.

    흉부 X-레이 또는 CT: 폐의 구조적 문제나 다른 질병들을 배제하기 위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 염증 지표나 알레르기 반응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천식이 확진된 경우, 치료는 주로 환경 조절, 약물 치료, 그리고 필요 시 긴급 치료로 구성됩니다. 약물 치료는 주로 기관지 확장제와 항염증제의 사용을 포함하며, 천식 트리거(증상을 유발하는 요소)의 관리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담배 연기, 공기 오염, 알레르기 유발 물질 등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천식의 증상과 관리에 대해 환자 교육이 중요하며, 천식 액션 플랜을 작성하여 증상이 악화될 때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