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화려하게 부활한 설표

다른나라에서 유미주의가 어떻게 나타났나요?

안녕하세요? 유미주의는 탐미주의, 예술지상주의라고도 하는데요~ 서구에서 아주 오랜역사를 지니고 있었다고 하던데요~ 그럼 서양에서는 유미주의가 어떻게 나타났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기준 전문가입니다.

    유미주의는 미의 창조를 예술의 유일 지상의 목적으로 삼는 예술사조입니다. 인간이 아닌 예술을 위해 예술을 한다는 순수 예술지향을 주제로 이전의 흐름을 바꿔 버렸습니다. 예술 사조로서의 유미주의는 예술지상주의의 한 축으로서 19세기 후반의 계몽주의에 반발하여 나타난 것입니다.

    ​철학에서 칸트는 순수한 심미적 경험은 외적인 목적과 관계없이 심미적 대상을 사심 없이 관조하는 것에 있고 그 자율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예술에서는 예술 작품의 목적이 오직 그 형식적 완벽성으로 존재하는 것일 뿐 그 자체의 존재를 넘어선 어떠한 목적도 없기 때문에 예술이 인류의 문화적 산물 중에 가장 뛰어난 것이라고 주장한 고티에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 '예술을 위한 예술'을 목표로 하는 형식적 미학을 중시하는 예술관으로서의 유미주의는 궁극적으로 순수예술을 지향하게 된 것입니다.

    문학에서 유미주의는 공리주의를 배제한 순수화 경향을 존중하는 문예사조를 지칭하는데, 19세기 미국의 포우와 프랑스의 보들레르. 영국의 페이터 등이 유미주의를 크게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유미주의는 19세기 서양에서 발생한 예술 운동으로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하며 예술의 자율성과 아름다움을 강조한 사조입니다. 유미주의는 도덕적 교훈이나 사회적 기능보다 예술 자체의 미적 가치와 쾌락을 중시했습니다. 영국의 작가 '오스카 와일드'와 같은 인물들이 유미주의 운동을 대표하며, 그의 작품들은 예술이 단순히 도덕이나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로 완전하고 독립적인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유미주의는 감각적이고 세련된 미학을 추구하며 당시의 엄격한 도덕적 기준에 반기를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