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의 국지화"라는 말이 무슨 뜻인가요?
부동산 시장은 지역별로 다른 모습으로 나타 나는데 이를 부동산의 시장의 국지화라고 한다고 합니다. 부동산의 부동성에 기인한다는데 무슨 개념인지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공인중개사 박어상입니다.
부동산의 특성상 그 물건장소의 고정성으로 인해, 실제 거래는 추상적인 권리(소유권 및 근저당권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고있는 추상적 시장입니다. 또한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부동산 시장은 의도된 거래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부동산시장은 장소에 고정되어 국지적으로 형성되고(세분화되어 쪼개짐) 수급조절의 어려우며, 상품의 비표준화, 비조직, 비공개성과
자금의 유용성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예를 들면 서울의 아파트 시장은 독점경쟁시장에 속하고(수요자는 다수이나 해당 입지의 공급은 한정적) 그에 반해 지방이나 수도권 외곽의 택지를 조성하여 분양한 아파트들 같은 경우는 반대로 공급자가 많은 특징이 있습니다.
이것이 국지적 특성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의 부동성이란 토지 위치가 고정되 있어서 이동시킬 수 없다는 뜻입니다.
부동성에 의한 국지화란 토지를 움직일 수 가 없기 때문에 토지를 필요한 지역에 공급할 수 없습니다.
이로 인행 가격차이가 많이 나는 것이고요.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국지성(지역성)은 부동산 특징 중 하나로 이동이 불가능한 부동산 특성(부동성)으로 인해 동일한 가격 형성이 불가능하며, 부분 시장별로 서로 다른 가격이 형성되다는 개념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은 부동성 즉 움직일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부동산시장은 지역별로 다른모습 즉 지역특성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를 부동산의 국지화현상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태준 공인중개사입니다.
지역별로 부동산의 특징이 다릅니다. 근데 국지화라는 건 사실상 학문적인 느낌이고 한국의 부동산은 국지화라기보다는 공통적인 공산품에다 약간의 특징을 가진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땅은 움직이지 않아서 각각 지역마다의 개성이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하시면 편하실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