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무역 이미지
무역경제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1.29

무역에서 공정무역이란 어떤 무역을 말하는 것인가요?

무역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 보니까 공정무역이라는 것이 있더라고요 여기서 말하는 공정무역은 무역이며 공정 무역의 장단점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공정무역은 개발도상국 생산자, 노동자의 인권을 보호하고, 정당한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개선하려는 것을 말합니다. 공정무역을 통해서 개발도상국의 노동자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생산 활동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공정무역 제도는 자유시장을 토대로 진행되다 보니 일반제품에 비해 가격이 보다 고가 수준으로 형성되어 있어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고 공정무역 자체를 기업에 의해 진행되다보니 투명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무역에서 공정무역이란, 개발도상국 생산자들에게 공정한 가격과 조건을 제공하여 빈곤과 불평등을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무역을 말합니다.

    이는 경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불공정 무역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부의 편중, 환경 파괴, 노동력 착취,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두된 무역 형태이자 사회운동을 일컫는 말입니다. 다국적 기업 등이 자유무역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적정한 생산 이윤을 보장받지 못한 채 빈곤에 시달리는 개발도상국의 생산자와 노동자를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발생한 대안적 형태의 무역입니다.

    생산자에게 공정한 가격을 보장하며, 소비자에게는 고품질 제품을 제공합니다. 또, 환경 친화적인 생산 방식과 사회적 책임을 갖는 기업들과 협력하여 제품을 생산하므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사회적 공정성을 추구하는 경제활동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식되고 채택되고 있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무역 자체가 멀리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래 방식의 투명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공정무역은 노동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것에 집중하기 때문에 노동조건을 개선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이들이나 여성이 참여하는 업종과 무역을 한다면, 국제관행 뿐만 아니라 현지 사정에 입각한 관습을 따라야 하지만 현지 관습이 지켜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공정무역의 한계점으로 지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공정무역(公正貿易)은 개발도상국 생산자의 경제적 자립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생산자에게 보다 유리한 무역 조건을 제공하는 무역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경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불공정 무역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부의 편중, 환경 파괴, 노동력 착취,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두된 무역 형태이자 사회운동을 일컫는 말입니다. 다국적 기업 등이 자유무역을 통해 이윤을 극대화하는 과정에서 적정한 생산 이윤을 보장받지 못한 채 빈곤에 시달리는 개발도상국의 생산자와 노동자를 보호하려는 목적에서 발생한 대안적 형태의 무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공정무역이란 제 3세계의 노동자들에게 까지 무역의 가치를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사회운동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공정무역의 대표대상은 카카오, 커피, 바나나 등이 있으며, 이러한 물품들은 개발도상국의 노동자들에게 적정임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다소 비싼가격으로 판매가 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공정무역의 장점으로는 개발도상국의 노동자들의 생활이 어느정도 개선이 된다는 것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인식이 변경된다는 점에서도 주요한 의의를 지닙니다. 다만 단점의 경우에는 기업이나 공장주들이 이를 악용하는 경우가 존재하고 또한 다른 개도국의 노동자들에게 역차별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왕희성 관세사입니다.

    공정무역은 개발도상국의 경제적 자립과 해당국가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생산자에게 보다 유리한 무역조건을 제공하며, 이러한 공정무역의 대표적인 물품으로 초콜릿 , 커피, 차(Tea), 의류, 축구공, 농구공, 생화, 설탕, 벌꿀, 견과류 등이 있습니다.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불공정 무역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부의 편중, 환경파괴, 노동력 착취, 인권침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생겨난 무역형태로, 생산자는 직거래를 통해 정당한 값을 받고 판매를 하기 때문에 이들의 경제적 자립에 큰 도움을 주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공정무역을 통해 윤리적인 제품, 친환경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참고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공정무역은 생산자에게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커피를 생산하는 생산자는 커피 생산에 대한 가격을 제대로 보상받지 못하지만, 이를 유통하고 추가가공을 하는 업체들은 막대한 이익을 보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공정무역은 식품이나, 섬유 등 1차산업에 기반한 산업이 대부분입니다.

    다음의 내용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fairtradekorea.org/main/user/userpage.php?lpage=ft1_1_kor

    공정무역에 대한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kefn.kr/focus/?idx=5806176&bmode=view

    쉽게 표현하면 '생산자들에게 제 값을 주고 무역을 하여 생산자들이 조금 더 잘 살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한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이를 통한 '비효율'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비싼 가격, 인프라가 갖춰져 있지 않은 국가로부터 수입업무, 실제로 그리 공정하지 않음 등)

    다음의 기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youthpress.net/xe/kypnews_article_society/10390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무역분야 전문가입니다.


    공정무역이란 국제무역에서 보다 공평하고 정의로운 관계를 추구하는 거래기반의 파트너십으로 공정무역은 특히 경제발전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남반구 저개발국가의 생산자와 노동자들에게 정당한 가격과 노동 조건을 제공하고,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하는 운동입니다.


    공정무역 제품에는 커피, 차, 코코아, 설탕, 바나나, 과일, 채소, 꽃, 공예품 등이 있습니다. 공정무역 제품을 소비하면 생산자와 노동자의 삶 개선, 환경 보호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