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갤럽 조사 결과 국민들이 경기를 비관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경제 전망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국민의 경기 전망이 비관적으로 변할 때, 정부와 중앙은행은 어떤 정책 수단을 동원해서 심리를 안정시키고 실물경제에 긍정적 파급을 일으킬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 비관론이 확산되면 다음과 같은 구조적 악순환이 발생하며 심리적으로 연쇄작동이 발생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경기 비관→소비 지연→기업 매출 감소→투자 위축→고용 감소→추가 소비 위축 이런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은 객관적 경제지표와 무관하게 실물경제를 직접 위축시킬 수 있어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이 높습니다.
현재 부동산 시장 불안정성으로 PF 부실과 지역별 편차로 자산가치 하락 우려가 있으며 물가 상승 대비 임금 상승 부진으로 체감경기 악화되는 실질소득의 문제 글로벌 불확실성과 세계최고수준의 가계부채가 현재의 경제전망의 비관세가 악화된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의 경기 전망이 비관적으로 변할 때, 정부는 확장적 재정 정책을 통해 심리 안정과 실물경제 부양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대규모 공공 투자로 정부 지출을 늘리거나 다양한 세금을 감면하여 가계의 소비 여력과 기업의 투자 심리를 되살릴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대출 비용을 낮추고 돈이 시중에 더 많이 풀리도록 유도하여 경제 주체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그렇게되면 기업과 가계의 심리를 안정시키고 소비 및 투자 확대로 이어져 실물경제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소비 위축과 자영업 폐업률이 지속되고 있어 비관적인 면이크며, 투기성 자산으로의 수요 집중 및 화폐가치 하락도 우려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부 입장에서는 재정정책으로 경기부양책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세금 감면이나 공공투자 확대 같은 방식이죠. 중앙은행은 금리를 조정하거나 유동성을 공급해서 돈이 돌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다만 이런 조치가 너무 빠르면 인플레이션 자극할 수도 있고 너무 늦으면 이미 소비심리가 얼어붙어 효과가 약합니다. 그래서 정책 타이밍이 핵심이라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갤럽 조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미국과의 관세 문제가 험난하고 있으며
내수 시장 역시 쉽게 회복되지 않기에
전망 자체가 비관적으로 보여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우리나라의 저성장국면이
펼쳐지고 있는 등 그렇기에 부정적인 것으로
아무래도 내수경제를 살리고 수출을 늘려야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