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은행이 금리 인상을 한 이유는 무엇 인가요?
한국의 사채 시장에 일본 엔화가 많이 있는데 일본 금리 오르면 큰일 아니가요? 건물 빌딩 살때 이율 싼 엔화로 많이 산 건물 주들 작살 나는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 은행이 금리 인상을 한 이유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경제 성장에 필요한 통화정책을 조정하기 위함으로, 일본 금리 인상이 한국 사채 시장과 일본 엔화 대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금리가 오르면 엔화로 대출받은 자산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으므로 일부 건물주들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요즘 경기가 좋아져서 물가가 오르니 앞으로 1프로까지는 기준금리를 올릴 생각인거 같습니다
오늘 25비피 올려서 0.5프로거든요 말씀하신대로 일본에서 싸게 빌려서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투자한 엔캐리 트레이드 자금은 일본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면 투자했던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을 팔고 빌린 엔화 자금을 상환할수 있습니다
그러니 일본 기준금리 인상은 말씀하신대로 악재가 맞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지속적으로 물가상승 압박을 받았기 때문에 금리를 올려서 물가 상승을 막으려 했습니다
만약 이율이 저렴한 엔화를 당겨다가 다른 자산에 투자를 한 사람들의 수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오랫동안 디플레이션 탈피와 금리 정상화를 목표로 아베때부터 정책 목표로 삼고 노력해왔습니다
고질적인 디플레이션을 해결하고자 제로금리와 무제한 양적완화를 한것이며 현재는 작년부터 물가가 상승추세가 이어지고 지나치게 낮은 엔저로 자국민 수입물가고 지속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중입니다
이에 기준금리 장기목표를 2프로대로 삼고 통화정책의 유연성을 높이고 엔가치를 어느정도 상향하려는 모습인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일본에서 물가 상승이 문제될 것 같으니, 이를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을 결정한 것입니다.
금리를 인상하면 기업과 개인이 부담해야 할 이자가 커지기 때문에 소비가 위축되고 통화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통화량의 감소로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물가는 하락하게 됩니다.
물론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될 수 있으나 그보다 물가 상승으로 인한 부작용이 더 심각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금리 인상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이네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일본금리의 경우에는 현재 일본의 수출증대 및 인플레이션 증가로 인하여 선제적으로 대응이 필요하기에 인상한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사실상 선제적 대응이라고 하기 어려우나, 일본의 경제가 다시 살아나려는 기미를 보이고 있고 전세계적인 고환율 분위기에서 일본이 공격대상이 될 수도 있기에 이러한 균형점을 찾기 위하여 금리를 일부 인상하였다고 보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