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일부 동물은 특정 색을 구별하지 못할까요?

강아지의 경우는 흑백으로 세상을 보잖아요. 다른동물 중에도 그런 동물이 있다고 듣기는 했습니다. 이렇게 색을 구별하는 기관이 동물마다 다른 지각 체계로 진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색을 인식하는 능력은 동물들이 각기 다른 생태적 요구와 진화적 압력에 따라 발전해 왔습니다. 이러한 색 인식 능력은 생존과 번식 전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발달한 동물은 포식자를 피하거나 먹이를 찾는 데 유리할 수 있으며, 짝을 찾고 종의 생존을 위한 행동을 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동물의 눈에 있는 원추세포는 빛의 다른 파장을 감지합니다. 인간은 세 가지 종류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어 적색, 녹색, 청색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반면, 일부 동물은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어 더 넓거나 좁은 색 스펙트럼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아지는 인간보다 적은 수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어, 주로 파란색과 노란색 범위에서 빛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색 인식 능력은 각 동물이 서식하는 환경에 맞춰 최적화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수중 환경에서는 물이 파란 빛을 더 잘 투과시키기 때문에 많은 수중 생물은 파란 빛에 민감한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면, 밀림과 같은 환경에서는 녹색 빛이 우세하므로 녹색에 민감한 시각을 발달시킨 동물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개나 고양이처럼 특정색을 인지하지못하는 동물들이 많습니다. 붉은색처럼 자연속에서 살아갈때는 굳이 필요없는 색인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강아지의경우 완전한흑백은아니고 초록색과 파란색 두가지색만 볼수있습니다. 그래서 붉은색은 잘 인지하지못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 네, 일부 동물들은 사람처럼 다양한 색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물의 눈에는 빛을 감지하는 세포인 원추세포가 있는데, 이 원추세포의 종류와 수에 따라 인지할 수 있는 색의 종류가 달라집니다. 사람은 일반적으로 세 종류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색을 구별할 수 있지만, 많은 동물들은 두 종류 이하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어 색 인지 능력이 제한적입니다.

    동물들은 각자의 생존 환경에 맞춰 색 인지 능력이 발달했습니다. 예를 들어, 낮에 활동하는 동물들은 먹이를 찾거나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다양한 색을 구별할 필요가 있지만, 주로 밤에 활동하는 동물들은 흑백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개나 고양이는 사람으로 치면 적록색맹에 가까워 빨간색과 녹색을 잘 구별하지 못하고, 파란색과 노란색 정도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소는 빨간색과 초록색을 구별하지 못하며, 밝고 어두움 정도만 구별하며 새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많은 새들은 사람보다 더 많은 종류의 색을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화려한 색을 가진 새들은 짝짓기나 영역 표시를 위해 다양한 색을 이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동물의 색 구별 능력은 새애존에 필요한 정보 처리에 적응한 결과입니다.

    각동물의 서식 환경과 생활 방식에 따라 색을 인지하는 방식이 다르게 발전했으며

    이는 먹이 찾기 포식자 회피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 동물마다 색을 구별하는 능력이 다른 이유는 환경 적응과 생존 전략에 따라 시각 체계가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강아지는 적록 색맹으로 파란색과 노란색 계열은 구별하지만 빨간색과 초록색은 비슷하게 보며, 이는 야간 활동과 사냥에 유리하도록 발달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새는 다양한 색을 구별하며 화려한 깃털로 짝을 유혹하거나 먹이를 찾는 데 유리하고, 소와 말 같은 초식동물은 주변의 움직임에 민감해 포식자를 감지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런 시각 체계의 차이는 각 동물의 생태적 요구와 서식 환경에 맞춰 적응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필요성에 따라 다르게 진화한 거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해양동물은 육상동물과 달리 시각적인 색의 목적이 크게 없어서 녹색계열의 색만 볼 수 있는 원추세포만 가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많은 동물은 인간과 다른 색각을 지녀 특정 색을 구분하지 못하며, 강아지의 경우 적녹색 구분이 어렵습니다. 동물의 색각은 먹이 탐색이나 포식자 회피 등 생존 전략과 관련되어 서식 환경과 생태적 지위에 따라 진화했습니다. 색각 발달에는 에너지 소모가 필요하므로, 생존에 필수적인 수준으로만 발달하는 것이 에너지 효율적인 진화 전략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