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의원에서 이석증진단받고 수면제처방받아복용중이라는데 이석증에수면제처방이맞는건가요
이석승으로 몇년째곳생중입니다. 머리nri.mra촬영하고 결과 아무이상소견은 없는걸로나왓늡니다.그런데 어지럽다고하니 이석증이라고하는데 대개인병원진단이고 대학병 원진단받은저근없습니다.그냥 어지럽다고합니다.저희시누얘기입니디ㅡ. 차타고 강원도까지 놀러갈때는 약먹고 가니까괜찮다고하는데 ~~저또한 밥먹다말고 갑자기 어지럼증이 찾아와 이석증인지모르고 방에들에가 누워도 괜찮아지지를않아 밤에 응급실을 갔더니 이석증이라고 병윈가는잠깐의차안에서 토하고 난리였는데 저희시누는 이석증이 온상태에서 대전에서 강원도까지 약먹었다고 이석증이 괜찮아질까요? 종합병원가서 검사를 하라고해도무서워못가겠다고 하는데 어찌해야한까요?어디를 검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수면제는 어지럼증으로 인한 불편함과 수면 장애를 관리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처방될 수는 있지만, 이석증 자체의 치료효과 가 있지는 않습니다. 대학병원에서의 진료와 진단검사를 크게 염려하지 않으셔도 되며,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먼저 의사와 상담하여 이석증의 증상이 해당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의사는 진찰을 통해 중이염의 증상이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신경 기능과 균형을 조절하는 능력에 이상이 있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이석증을 진단하기 위해 딕스-홀파이크 검사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검사는 이석증 환자에게 특정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어지러움을 유발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의사는 어지러움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석증으로 인한 눈의 움직임을 관찰합니다.
이와 더불어, 눈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특수한 장치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이미 이석이 반고리관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어지러움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때로는 진단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청력 검사, 평형 기능 검사, 혹은 MRI와 같은 영상의학 검사를 추가로 수행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며, 추가적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이석증의 경우 증상이 심하시다면 안정제 등을 처방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의 경우라면 치환술 등의 술기를 받으시는 것이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비인후과에 꾸준히 내원하시면서 관리를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