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소변을 가릴 나이가 지났는데 실수를 하는데 어떻게 훈육해야 하나요?
대, 소변을 가릴 나이가 훨씬 지났다고 생각이 드는데,
한 번씩 실수를 합니다.
슬기롭게 대, 소변을 가리게끔 훈육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쉬가 마려운 느낌이 들면 바로 화장실에 갈 수 있도록 해주시고 화장실에 가는 시간을 정해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장실을 다녀오는 습관을 형성해주세요
그리고 실수를 했다고 혼내시기보다는
마음의 여유를 주셔야 해요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대소변 실수를 한 경우 바로 엄하게 훈육하시게 되면
아이 불안감으로 인해 더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아이를 안정시켜주고
수면 전 소변을 보게하시고 수면 1시간 전에는 물을 먹지 않도록 해주시는 것을
권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소변을 일찍 가린 아이들은 가끔 실수를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완성한 성숙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실수를 할 수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이렇게 말을 해주세요.
옷에 실수는 할 수 있어, 하지만 소변이 마렵거나, 대변이 나올 것 같으면 그 즉시 화장실에 가서 볼 일을 보는 거야 라고 부드럽게 말을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인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교때 저학년까지 무의식적으로 제어가 안되서 소변을 실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무의식에 의한 실수인 경우가 많기에, 다그치는 훈육보다 그것으로 인한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공감과 격려를 해주시면 점점 성장하면서 자연스레 고쳐질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마시고
마려우면 화장실을 가도록 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화장실 가는게 부끄럽지 않은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배변훈련이 끝났는데도 자주 실수를 하는 아이들은 의외로 많답니다.
초등학교에 가서도 실수를 하기도 하지요.
실수한 부분에 대해서 아이에게 야단을 쳐서는 안됩니다.
아이도 인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스스로 고치려고 노력을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대소변 가리기 훈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실수하더라도 혼내거나, 벌을 주지 않는 것과 성공했을 때(처음에는 우연히라도) 충분한 칭찬을 해 주는 것입니다. 충분한 격려와 칭찬이 가장 좋은 훈련 방법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대.소변 실수를 했다고 아이를 다그치거나 혼을 내면, 아이는 큰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으니,
그럴 수 있다고 평상시처럼 대해주셔야 합니다.
무엇보다 당황해있을 아이에게 괜찮다라고 아이의 마음을 읽어 주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