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화끈한 낚지
화끈한 낚지24.03.01

화가 난다고 아이한테 보통 치는 것은 안 좋을까요?

아이가 한 번씩 말을 듣질 않고 너무 답답하게 행동할 때 호통을 치는 적이 있는데 화가 난다고 아이한테 호통 치는 것이 아이한테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도 감정이 있기 때문에 화가 난다고 해서 아이에게 호통을 치는 것은 아이의 정서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훈육할 때는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

    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

    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

    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의 훈육 방법입니다.

    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성인도일하는데 못한다고상사가호통치고혼낸다고생각해보세요

    그럼자신이못한게생각날까요

    상사에대한거부감이나반감이늘어날까요

    역지사지로생각해보시면답이나올겁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감정적으로 대하는것은 아이에게 있어서도 감정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모방할수있습니다

    되도록이면 훈육에 있어서는 단호하게 문제행동에 대해서 이성적으로 해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에게 훈육시 호통을 치는 등의 화를 내는 것은 아이가

    무서움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행동을 교정할 뿐 정확한 훈육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감정을 차분하게 하신 후 아이 눈높이에 맞는 대화로 훈육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3.01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내가 화가 나는 이유는 내 생각대로 아이가 행동을 안 하기 때문입니다. 한번 화를 내게되면 반복해서 또 화를 낼 가능성이 높아요. 화를 내면 아이가 불안해 하니 일단 좀 떨어져서 심호흡을 하여 안정을 갖는게 좋습니다. 그리고나서 잘못된 행동에 대해 차분히 이야기를 하는게 아이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호통을 치는 것은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에게 불안감과 무력감을 주고, 자존감을 해칠 수 있습니다. 호통은 부정적인 감정을 갖게 하며, 아이의 심리적 안녕을 해치고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신에, 부모는 아이에게 존중과 이해를 보여주며,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합니다. 대화와 긍정적인 교육적 접근으로 아이에게 원활한 소통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우도록 도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