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법률

기타 법률상담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국회에서 안건이 가결되기 위한 조건이 무엇인가요?

대통령 탄핵에 대한 투표 관련 방송을 보는데 특검법 투표에서는 여당이 투표하고 탄핵 투표 시작 전애 나가버리던데요. 두 안건이 충족되기 위한 조건이 달라서 두 가지 중 한가지만 투표하고 간 건가요? 어떤 조건이 다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성훈 변호사입니다. 특검법투표는 재의요구에 따른 재의결로 "출석의원"의 3분의2이상이 찬성하면 통과되기 때문에 여당의원들이 모두 출석하여 거부표를 던진 것이고, 탄핵소추안은 "재적의원"의 3분의2이상이 찬성하면 통과되기 때문에 아예 불참을 한 것입니다.

  • 이 번 특검법은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이므로 재의결시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에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 찬성이 필요합니다. 반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와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합니다. 탄핵소추안은 더 높은 의결정족수가 요구됩니다.

  • 안녕하세요. 길한솔 변호사입니다.

    헌법 제65조 ①대통령ㆍ국무총리ㆍ국무위원ㆍ행정각부의 장ㆍ헌법재판소 재판관ㆍ법관ㆍ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ㆍ감사원장ㆍ감사위원 기타 법률이 정한 공무원이 그 직무집행에 있어서 헌법이나 법률을 위배한 때에는 국회는 탄핵의 소추를 의결할 수 있다.

    ②제1항의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가 있어야 하며, 그 의결은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다만,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는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와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③탄핵소추의 의결을 받은 자는 탄핵심판이 있을 때까지 그 권한행사가 정지된다.

    ④탄핵결정은 공직으로부터 파면함에 그친다. 그러나, 이에 의하여 민사상이나 형사상의 책임이 면제되지는 아니한다.

    제53조 ①국회에서 의결된 법률안은 정부에 이송되어 15일 이내에 대통령이 공포한다.

    ②법률안에 이의가 있을 때에는 대통령은 제1항의 기간내에 이의서를 붙여 국회로 환부하고, 그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국회의 폐회 중에도 또한 같다.

    ③대통령은 법률안의 일부에 대하여 또는 법률안을 수정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없다.

    ④재의의 요구가 있을 때에는 국회는 재의에 붙이고,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전과 같은 의결을 하면 그 법률안은 법률로서 확정된다.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발의와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라는 점에서는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