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 GM ⠀
⠀ GM ⠀

주식은 언제 판매하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주식으로 수익을 내고 있다면 언제 판매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인가요?

주식을 어떤 기준으로 판매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주식에서 매수는 기술이고 매도는 예술이라는 속설이 있습니다.

    그만큼 매도는 어렵고 수익을 내도 손절을 해도 만족이 안된다는 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수익 중이라면 분할매도를 해가면서 내 평단쯤으로 내려오면 정리하는 방식의 매도를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주식을 판매하는 시점은 투자자별로 원하는 수익율별로 상이합니다

    • 따라서 주식을 판매할 때 내가 세운 투자 원칙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 이 원칙을 세우지 않으면 언제가 되어도 매도를 하기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의 판매기준은 자신의 투자방식이 어떤방법이냐에 따라서 달라지는것이지 공통된 분모는 없습니다. 본인이 단기트레이딩에 접근하고 기술적으로 접근한다면 오직 이 패턴기준에서 매수와 매도시점도 동일하게 이루어지는것이며 손절타이밍도 단기트레이딩 접근하에선 이익 기준범위와 손절 기준범위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다만 확률을 높여서 손익비를 맞추는 전략입니다.

    반대로 기본적 투자방식에 접근하는 방식이라면 본인이 그레이엄과 같은 전통적인 가치투자라고 한다면 밸류에이션이 평균이상으로 오고 상회할경우 매도하는 접근이며 반대로 성장주에 투자할경우 자신의 조건이 분기별 매출성장율을 근거로 투자했다고 하면 만약 이 매출성장율이 분기별로 2분기 연속 꺽이게면 매도를 하는것이며 또한 자신은 1위 사업자만 투자한다고하면 주력사업에서 1위가 아니라 2위로 내려앉게되면 매도하는 이런식으로 투자하는것입니다.

    또한 자신의 투자시나리오가 선진국에서 자사의 기업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을 늘린다는 근거방식이라면 만약 이경우 선진국내의 기업으로 대체한다는 시나리오가 설정될것으로 보이면 매도시점을 잡는것입니다. 즉 이말은 매도시점은 무조건 공통된게 아니라 자신이 정한 매수시나리오 근거가 깨지게 되면 매도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은 목표 수익률 도달, 기업 실적 악화, 시장 과열 시 매도 판단이 필요합니다. 단기 이익에 연연하기 보다 투자 목적에 맞는 기준을 세우는 게 중요합니다. 수익 확정 후 분할 매도 전략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