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미국 핼러윈 지출 역대 최대라는데 관세 영향은 없나요

관세 때문에 소비 위축 얘기 많았는데 핼러윈은 오히려 사상 최대 지출이라네요. 이런 경우 무역에 실제 영향이 크지 않은 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핼러윈 지출이 역대 최대라는 건 흥미로운 흐름입니다. 관세 부담이 소비를 눌러야 정상인데 이런 이벤트성 소비는 조금 다르게 움직입니다. 코스튬이나 장식품처럼 계절성 수요가 강한 품목은 가격이 다소 올라가도 소비자가 그냥 지갑을 열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역 측면에서는 대부분 중국 등 아시아에서 들여오는 제품이라 관세가 붙더라도 수입 수요 자체는 크게 줄지 않는다는 의미가 됩니다. 다만 단가가 낮은 물품이라 관세율 인상분이 체감되기 어렵고 유통업체가 마진을 줄여 흡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 핼러윈 지출이 역대 최대라는 건 관세 부담에도 불구하고 특정 시즌 소비는 여전히 강하게 유지된다는 걸 보여줍니다. 코스튬장식품사탕 같은 다수가 중국산이지만, 단가가 낮고 계절성 수요가 크다 보니 관세로 가격이 올라도 소비자가 크게 줄이지 않은 겁니다. 무역 전반에서는 관세가 분명 수입 비용을 높여 부담이지만, 이런 특수 시즌 소비재는 영향이 제한적이고 수입업체들이 일부 비용을 흡수해 판매를 유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관세부과정책이 시작됨과 동시에 재고확보를 많이 해놓은 상황으로 보이며, 실제 아직까지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해 관세에 대한 부담을 수출자 또는 수입자가 부담하는 경우가 많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관세정책이 지속될경우 어느정도 소비자 전가가 필수적이며 이는 결국 물가의 상승을 불어일으킬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 지출이 최대라는 것은 물품가격이 비싸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관세의 영향은 존재한다고 볼 수 있으며 그나마 이러한 영향이 기업들의 노력에 따라서 제한적이기에 여전히 미국도 소비를 즐길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되며 만약에 전체 관세가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경우에는 소비자들도 자체적으로 소비를 줄일 수 밖에 없을듯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