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Mister Jasonheo
Mister Jasonheo

크로아티아 유로사용을 왜 이제서 하나요?

유럽 EU 가입국가는 국가화폐를 유로로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크로아티아는 EU가입한지 오래된걸로 아는데 왜 이제서야 유로를 사용하는건가요? 그전까지 사용안하는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크로아티아의 경우 작년 7월에 유로화를 사용하기로 결정하고 올해부터 유로화의 사용을 전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했습니다. 크로아티아가 그동안 유로화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못했던 이유는 '자유로운 통화정책의 제한' 때문이었습니다. 일단 유로화를 사용하기로 한다는 것은 통화정책의 자율성을 일부 내려놓겠다는 것으로 봐야합니다. 유로라는 단일 통화를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유로존이 겪는 문제점인 '금리 정책의 자율성'이 상실되는데 유로존 내의 개별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이 높더라도 유럽중앙은행의 금리 결정을 따라가야만 하다보니 자율적으로 인플레이션 억제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당시 이 결정을 했던 즈드라브코 마리치 크로아티아 부총리 겸 재무장관은 “요즘과 같은 시기 우리 모두 매우 강력한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분명히 조율된 정책과 조치를 통해 대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던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입니다. 일단 유로화를 사용하기로 하게 되면 이후에는 인플레이션을 유럽연합과 같은 범위로 유지하고 건전한 공공 지출을 유지해야 하는 제한 사항들을 지켜나가야 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 한번 부탁드릴게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로존에 들어오려면, 인플레이션을 유럽연합과 같은 범위로 유지하고 건전한 공공 지출을 유지하는 등 엄격한 조건을 충족시켜야 했습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여 브뤼셀에서 열린 유럽연합 재무장관 회의에서 크로아티아를 유로화 사용국으로 최종 승인한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