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동산 상황이 어떻게 진행될까요
올해 부동산상황이 어떻게 진행될까요 부동산 경제정책이 어떻데 진행될까요 전체적인 정부의 계획이나 부동산 지역별로 어떻게 진행될지 알고쉽습니다
안녕하세요. 최병옥 공인중개사입니다.
아직 새정부 들어서 부동산 정책이 나오지 않았지만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경기활성화로 인해서 시중에 돈이 부동산에 흘러가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겠다는 심리로 지금 부동산 가격은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러한 상승을 잡기 위해서 공급정책에 노력을 할 것으로 보이고, 재개발/재건축 규제를 완화하는 동시에 대출 규제는 강화하는 쪽으로 갈 것으로 사료되고 특히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는 계속 될 것이며 인구 유출이 심한 지방의 경우 부동산 회복에는 시간이 많이 걸릴 것으로 사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1. 정부는 공공주택 25만2천가구 공급 및 청년·신혼부부 지원 강화 계획.
2. 금리 인하 → 실수요자의 구매력 향상, 그러나 대출 규제는 유지.
3. 수도권: 공급 부족·금리 효과로 완만한 회복세,
지방: 양극화 심화, 중소도시 실거주 위주.
4. 외부 변수(경기, 규제, 인구) 감안한 지역·기간별 전략 필요.
2025년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 중심 회복 vs 지방 침체라는 이중 구조 아래, 정부의 공급·금융 정책 실효성과 금리 흐름 및 지역별 인프라 호재 여부가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황권우 공인중개사입니다.
부동산 흐름에 관해서 질문 주셨는데요..
부동산 평론가들과 여럿 전문가 분들께서도 부동산 가격이 급등한다 급락한다 단정지어 말하지 못하는 이유가
시장경제의 흐름처럼 부동산 경제도 예측할 수 없는 미래의 영역이다 보니 이럴것이다~ 저럴것이다~ 라는 식의
표현으로 말씀들을 하시죠
저 또한 단도직입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려운 부분이긴 하나 그동안의 부동산업에 종사하며
느껴온 경험으로 간단하게 말씀드릴게요.
건축 자재값이 많이 올라 현재 공급물량 부족이 주택시장 불안 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공급 확대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봅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별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높은 가격에 대한 수요자의 부담이 여전한 데다 지방 미분양 아파트도 적체되어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극대화 될 것같아요
서울 강남을 포함해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세 확대되고 있어요 심지어 경매 낙찰 건수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구요
서울 중심지역은 당분간 상승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반면 외곽 지역은 상대적으로 제한된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안녕하세요. 한영현 공인중개사입니다.
답변드리겠습니다.
올해 부동산 시장은 서울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강남의 토지거래허가 구역이 잠시 해제되었을 때 급격하게 매수세가 쏠리는 모습을 보였으며 민주당 집권으로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 서울과 수도권 핵심 지역 중심으로 가격이 상승할 듯합니다.
반면 지방은 광역시 중심으로 봐야하며 중소도시는 가격 상승이 미미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