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뽀로로
뽀로로23.12.07

우박과 눈은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우박도 얼음 덩어리처럼 생겼는데 우박은 계절상관 없이 내리는 것 같아 궁금하네요. 우박과 눈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거고 각각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과 눈의 생성원리는 동일합니다만 온도의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추울경우 우박이 더 잘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대기가 불안정하면 위에서 상승기류, 하강기류가 모두 생기는데,


    구름 상층의 얼음이 상승,하강을 반복하면 계속 커집니다.


    입자가 아주 커지면 내려오면서 녹지 않으므로 우박으로 내립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과 눈은 모두 대기 중에서 만들어지는 강수 형태입니다. 하지만 그 원리는 조금 다릅니다. 먼저 우박은 대기 중에서 얼어붙은 물방울로 눈은 대기 중에서 얼어붙은 물결로 만들어집니다. 이 두 가지 형태의 차이는 대기 중에서 얼어붙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에서 높은 고도에서 얼어붙은 물방울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 높은 고도에서는 온도가 0도 이하이기 때문에 물방울이 얼어붙게 됩니다. 그리고 물방울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동안 대기 중에서 다시 녹아서 물방울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방울이 다시 얼어붙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반복되면서 물방울이 점점 커지고 마침내 우박이 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눈은 대기 중에서 물결 모양의 얼음 결정이 만들어지는 것으로 만들어집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 온도가 0도 이하인 상태에서 수증기가 얼어붙어서 얼음 결정이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이 얼음 결정은 대기 중에서 떠다니면서 다른 수증기 분자들이 이어붙어서 점점 커지게 됩니다. 그리고 마침내 지면으로 떨어지는 눈이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박과 눈의 차이점은 대기 중에서 얼어붙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 온도와 수증기의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과 눈은 다른 형태입니다. 눈은 대기중에 수증기가 응축되어 만들어지는 것이고

    우박은 얼어붙은 비구름 안에서 성장한 빙술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07

    구름의 수증기가 서로 합쳐져서 중력보다 무거워지면 떨어지는 것이 비인데, 대기권의 기온이 낮아 비가 얼게되면 눈으로 내리게 됩니다.


    하지만 우박은 봄과 가을에 더운 공기가 상승해서 영하 온도의 구름 상층부까지 올라가서 수증기가 얼어 떨어지다가 다시 상승기류에 밀려 올라가는 것을 반복하다가 너무 무거워져서 커다란 얼음 덩어리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과 눈은 모두 얼음 덩어리이지만, 생성되는 원리가 다릅니다. 우박은 구름 꼭대기에서 얼음 결정이 생성된 후, 구름 내부의 상승 기류에 의해 계속해서 위로 올라가면서, 물방울과 충돌하여 더 커지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우박은 구름의 상층부에서 형성되며, 지름이 5mm 이상인 얼음 덩어리를 말합니다. 눈은 구름 내부의 물방울이 0도 이하의 온도에서 얼어붙어 생성됩니다. 따라서 눈은 구름의 중간층에서 형성되며, 지름이 5mm 미만인 얼음 덩어리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둘다 공기중의 수중기가 액화되어 물분자상태는 동일하나 지표면으로 떨어질때 액체이면 비

    급격한 냉각으로 얼어서 떨어지면 우박인데

    우박은 거의 잘 일어나질 않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