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구가 면역반응을 하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우리몸속에는 백혈구가 있으며
백혈구과 외부 바이러스가 안좋은 균들에 대해
면역반응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어떤 원리로 백혈구가 세균들에 의해 면역반응을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백혈구(white blood cells)는 우리 몸의 면역 체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특히, 다양한 병원체에 대응하여 면역 반응을 활성화합니다. 백혈구는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각각이 고유의 방식으로 병원체를 인식하고 파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백혈구의 면역 반응 원리는 크게 병원체 인식, 신호 전달, 병원체의 제거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가 면역 반응을 시작하는 첫 번째 단계는 병원체의 인식입니다. 병원체는 특정 분자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병원체 연관 분자 패턴(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 PAMPs)으로 불립니다. 백혈구 표면에는 이러한 PAMPs를 인식하는 수용체인 패턴 인식 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 PRRs)가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PRRs으로는 톨 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s ; TLRs)가 있으며, 이 수용체는 병원체의 특정 구성 요소(ex : 세균의 리포다당류 또는 바이러스의 이중가닥 RNA)를 인식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병원체를 인식한 백혈구는 화학적 신호를 방출하여 다른 면역 세포들을 감염 부위로 끌어들입니다. 이 과정에서 염증 반응이 발생하며, 이는 혈관을 확장시키고 면역 세포들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대식세포(macrophages)와 호중구(neutrophils)는 감염 부위에 모여 병원체를 탐식(phagocyrosis)하여 소화합니다. 탐식 과정에서 백혈구는 병원체를 세포 내부로 삼킨 후, 리소좀(lysosome)이라는 소화 소기관에서 다양한 소화 효소와 산성 환경을 통해 병원체를 파괴합니다.
특히 림프구(lymphocytes) 중 T 세포와 B 세포는 특이적인 면역 반응을 담당합니다. T 세포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직접 공격하거나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여 면역 반응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B 세포는 항체(antibody)를 생성하여 병원체와 결합하게 함으로써, 병원체가 다른 세포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중화하거나 다른 면역 세포들이 병원체를 쉽게 탐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백혈구는 림프절에서 항원을 수집하고 서로 또는 항원과 상호작용을 하여 외부 물질에 대한 면역을 야기합니다. 감사합니다.
백혈구가 면역반응을 하는 원리는 우리 몸이 외부 물질을 인식하고 방어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집니다. 백혈구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침입자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식균작용을 하는 호중구나 대식세포는 침입자를 감지하면 이를 삼켜 분해하고, 림프구는 항원을 인식하여 특정 항체를 만들어 기억하는 방식으로 적응 면역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동일한 침입자가 재차 들어오면 빠르게 반응하여 방어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으로 나누어지지요.
백혈구, 또는 항원제시세포 (물론 이또한 면역세포이지요.)가 병원체를 섭식하고, 항원을 기타 다른 면역세포에 제시하면, 해당 항원에 특이적인 부분을 인지하는 항체가 만들어지는 체액성 면역반응이 나타납니다.
병원체가 침입했을때, 항원을 항체가 둘러싸게 되고, 또 이를 인지하는 세포성 면역반응도 나타날수 있고요.
뭐 이런식으로 면역반응이 나타나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백혈구는 외부 바이러스나 세균을 인식하고 공격하는 면역세포입니다.
이들은 항체를 생성하거나 세균을 직접 파괴하여 면역 반응을 일으킬수 있어요
백혈구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용체가 있어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즉, 병원체의 표면에 있는 특정한 분자 구조인 항원을 인식하여 이것이 외부 물질임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부 백혈구는 병원체를 세포 내로 끌어들여 소화시키는 식균 작용을 하는데 비유하자면 아메바가 먹이를 잡아먹듯이 병원체를 둘러싸고 세포 내 소기관으로 끌어들여 효소를 이용하여 분해하는 것입니다.
또 B세포라는 백혈구는 병원체의 항원 정보를 기억하고 항체를 생성합니다. 항체는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병원체를 무력화시키거나 다른 면역 세포가 병원체를 쉽게 인식하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그리고 백혈구는 사이토카인이라는 신호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면역 세포들을 활성화시키고 염증 반응을 유도합니다. 염증 반응은 병원체가 감염된 부위로 다른 면역 세포를 유인하고 손상된 조직을 치유하는 데 도움을 주죠.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백혈구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적을 제거합니다.
우선 대식세포나 일반 백혈구의경우 대상을 감싸서 내부에서 소화를 시켜버립니다.
B세포의경우 적의 항원에맞는 항체를 생산하여 공격합니다.
T세포의경우 세포가가지고있는 세포독성을
적에게 주입하여 죽입니다.
각자 기능을하기위한 보조세포들이나
면역인자들이 존재하여 이들이 반응하고
공격할수있도록 돕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