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제습기는 어떻게 물을 모을수 있나요?

겨울보다는 장마인 여름철에 한참 켜놓고 있으면 물이 꽉차서 버립니다.

그 많은 물이 어떤 원리로 작동을 하여 모아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제습기 내부에 물을 모을 수 있는 기기가 있습니다.

      압축기의 냉매사이클을 통해 발열부는 뜨거워지고 흡열부는 차가워집니다.

      이때 흡열부에 공기를 통과시키면 공기에 있는 수분을 모을 수 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는 공기중에 있는 수분을 빨아들이는 역활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물이 생기게 되는겁니다.

    • 건조제(흡습 로터)가 수분을 흡수하고 히터로 기화시킨 다음 결로화해 물을 만들어내는 원리로, 데시칸트 방식과 비슷해 보이지만 구조적인 부분으로 들어가보면 조금 더 복잡합니다. 콘덴스 방식은 가정용 공기청정기의 시초가 된 「칸쿄」라는 회사가 독자개발한 방식입니다. 건조제로 재생력이 우수하고 제습력이 좋은 염화리튬을 사용, 2중 열교환기, 2중 팬, 내외부 분리된 공기 순환 방식 등 기존의 제습기에서는 전혀 없었던 개념들을 도입했습니다. 

    • 제습기가 작동하면 팬을 이용해 습한 공기를 빨아들안 후, 냉매를 이용해 차갑게 식힌 냉각장치로 통과시키는 작업이 일어납니다. 증발기인 냉각장치를 통과하면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고,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로 응축되어 냉각관에 맺힌 후 물통에 떨어져 모입니다.

      출처 :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with_msip&logNo=222417552454&parentCategoryNo=&categoryNo=58&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제습기는 습한공기를 빨아들여

      수증기를 물로 응축시켜 물로 바꾸어 모아줍니다 공기중의 수증기가 제거되었으니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건조해지게 되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중에 많은 제습기의 동작원리는 압축기의 냉매사이클을 통하여 발열부는 점점 뜨거워지고 흡열부는 점점 차가와집니다.

      이때 흡열부에 공기를 통화하게 되면 공기의 수분을 포집할수 있습니다.그러면 제습이 되는것입니다.

      일상생활에서 보시면 공기중에 수분이 함유되어있을때 차가운 물체에 닿아서 결로현상이 발생됩니다.

      그물방울을 잘 모아놓은것이 제습기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