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일타코피
일타코피

불면이 심한데요. 지금 이 상태가 괜찮은걸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46
기저질환
초기고혈압 불면
복용중인 약
수면제 쿠에타핀

불면으로 루나팜1mg 두알, 명세핀정6mg, 쿠에타핀 300mg 복용중인데요. 자다가 계속 잠이 깹니다. 무조건 9시30분에 약먹고 자는데 오늘도 12넘어 깨고 지금2시 넘어 또 눈이 떠졌네요. 담당선생님은 낮에 활동을 더 해서 피곤함을 늘리라는데요. 활동을 늘리려고 많이 걷고 계단도 오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계속 먹으면 부작용이 심하지 않을까요? 내과약인 리바텍플러스 캡슐, 펩타졸정40mg도 복용중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수면제와 항우울제를 복용 중에도 불면 증상이 지속되는 것은 고민이 많이 되시겠어요. 약물치료와 함께 비약물적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불면증 극복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낮 시간에 햇볕을 쬐며 적절한 신체활동을 하는 것은 좋습니다. 다만 강도 높은 운동은 오히려 각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저강도의 유산소운동이 적합하겠어요. 또한 수면 시간에 가까워질수록 활동량을 줄이고 점차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취침 전 카페인, 알코올, 담배는 피하시고 따뜻한 우유나 차를 마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일정한 시간에 잠들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수면 리듬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으로 수면제에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내성이 생기거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죠. 불면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약물 조절이 필요할 수도 있겠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인을 파악하고 그것을 제거해야 합니다. 특히, 장시간 누워있는 것이 해결책이 되지 않습니다. 대신 짧은 시간이라도 깊은 잠을 자는 것이 중요합니다. 쾌적한 수면을 위해서는 올바른 수면 습관을 갖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약물 치료, 인지행동 치료, 이완 요법, 자극 조절법 등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수면 일지를 작성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수면 일지에는 잠자리에 들기 전 시간, 기상 시간, 카페인을 섭취한 횟수, 일일 운동량 등을 기록해야 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1. 잠자리에 들기 6시간 전부터는 커피나 홍차와 같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를 피하십시오.

      2. 잠자리에 들기 2시간 전부터는 술이나 담배를 피해야 합니다.

      3. 규칙적인 적당한 운동은 수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자기 전의 격렬한 운동은 오히려 수면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4. 낮잠을 자지 않도록 노력하십시오. 낮잠을 자는 습관이 있다면 매일 같은 시간에 낮잠을 자도록 하십시오.

      5. 잠자리에 들기 전에 온수 목욕이나 독서와 같은 규칙적인 습관을 만드십시오.

      6. 졸음이 올 때만 잠자리에 들도록 하십시오. 잠자리에서 활동하거나 텔레비전을 보지 마십시오. 침대는 오직 잠을 자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어야 합니다.

      7. 매일 일정한 시간에 기상하도록 하십시오.

      8. 가능하면 수면제를 피하십시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부작용은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낮에 낮잠을 주무시지 마세요

      밤에 눈이 떠져도 상관없으니 시간을 확인하거나 하지 마세요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