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색다른콜리160
색다른콜리160

개미는 눈이 있음에도 피로몬으로 주변을 인지하는 듯 하는 이유?

개미는 분명 눈이 있는 것 같은데요,

주변을 인지하는데 가는 길에 낙엽이 떨어져 있으면 눈 보다도 페로몬을 통해서 인지를 하는 것 처럼 들은 기억이 있는데

정말일까요? 그렇다면 왜 그런지 궁금해여?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개미는 시야 해상도가 매우 낮아서 복잡한지형을 구분하기 어렵기때문에, 경로유지와 위치정보는 주로 페로몬신호에 의존합니다.

    페로몬은 눈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군체 전체가 공유할 수 있어서 먹이탐색이나, 집으로 돌아가는길을 찾는것, 경보같은 집단행동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데 최적화되어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네, 말씀하신대로 개미는 눈을 가지고 있지만, 주변 인지와 길 찾기에서는 시각보다 페로몬을 통한 화학적 감각에 훨씬 더 의존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개미의 눈이 그다지 좋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개미는 크기가 작고 굴속이나 어두운 곳에서 생활하며, 개미의 겹눈은 인간처럼 세밀하게 보는 것에 최적화된 것은 아닙니다.

    결국 이러한 환경에서 가장 효율적인 것이 바로 페로몬이죠. 페로몬은 개미가 먹이를 찾거나 이동할 때 땅에 분비하는 냄새 흔적이며, 이 페로몬 흔적은 다른 개미들이 길을 정확하게 따라가도록 해서 시각적 정보보다 훨씬 효율적인 집단 이동을 가능하도록 해줍니다.

    게다가 페로몬은 길 안내 외에도 위험 경고나 먹이의 위치, 동료 모집 등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개미 사회의 핵심적인 의사소통 수단이죠.

    1명 평가
  • 개미가 시각보다 페로몬에 주로 의존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개미 종이 가진 겹눈의 시력이 매우 낮아 사물의 형태를 정밀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개미의 눈은 주로 빛의 명암이나 움직임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며, 복잡한 경로를 탐색하거나 동료를 식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페로몬은 화학적 신호로서 어둠 속이나 땅속에서도 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길 안내, 위험 경고, 먹이 위치 등 생존에 필수적인 복잡한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해주는 핵심 수단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