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미국이 앞으로도 강대국 1등일까요?

이번에 미국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혼란이 오고있는데 중국의 반격을보니 장난아니란생각이 들었습니다 중국이 1등 할수도 있겠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최진솔 관세사
    최진솔 관세사
    한양대학교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현재 미국은 군사력, 금융 시스템, 기술력, 문화적 영향력 등에서 여전히 세계 최강국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과 이에 대한 중국의 강력한 대응은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에 도전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145%의 관세를 부과하자,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를 적용하며 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이러한 무역 전쟁은 단순한 경제적 충돌을 넘어, 양국의 전략적 경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중국제조 2025' 전략을 통해 첨단 기술 분야에서의 자립을 추진하며, 미국의 기술 제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미국은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중국을 견제하려 하지만, 고립주의적 정책은 오히려 동맹국들과의 관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경제 규모 측면에서 중국이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중국이 2030년대 중반에 미국을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기술력,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 글로벌 영향력 등에서 미국이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 또한,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와 인구 고령화 등 구조적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

    개인적으로는 미국이 당분간 세계 최강국의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지만, 중국의 부상은 미국의 독주를 견제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앞으로는 단극 체제보다는 미국과 중국이 중심이 되는 다극 체제로의 전환이 예상되며, 이는 국제 질서의 재편과 새로운 도전에 대한 대응을 요구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 경제 대국으로서 강력한 소비 시장, 기술 산업, 금융 시스템, 달러 패권 등 글로벌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미국의 경제 규모와 1인당 소득이 중국을 크게 앞서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의 성장률은 중국보다 낮지만, 경제 구조의 다양성과 혁신 역량, 글로벌 금융 중심지로서의 위상은 쉽게 흔들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역시 빠른 성장과 내수 시장 확대, 제조업 경쟁력을 바탕으로 미국을 바짝 추격하고 있지만, 부동산 문제, 부채, 무역 갈등 등 구조적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과 이에 대한 중국의 맞대응으로 양국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으나, 단기간에 미국을 넘어서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두 나라의 경제력 격차가 줄어들고 경쟁이 심화되겠지만, 미국의 1등 지위는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앞으로의 상황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하지만 개인적으로 미국의 관세정책 등의 상황은 결국 미국이 세계 1등의 위치를 공고히 하기 위한 강경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높은 관세와 함께 미국과 함께할 경제동맹을 만들고 미국위주의 세계 경제 주도상황을 만들어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