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삼겹살굽기
삼겹살굽기

스왑을 체결할 때 고정금리를 변동금리로 어떻게 바꾸나요?

스왑이 자산이나 부채의 고정금리를 변동금리로 바꿀 때 활용된다고 알고 있는데요. 어떤 과정을 거쳐서 가능한 것인지 이해가 안 되는데 사례를 통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고정금리를 변동금리로 바꾸는 과정, 처음엔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는 많은 기업이 금리 리스크 관리를 위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사례를 보면 이해가 쉬우실 거예요.

    예를 들어, 기업 A가 은행에서 고정금리 5%로 대출받았다고 가정해볼게요. 금리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자 변동금리로 전환을 원하지만, 대출 조건 자체를 바꾸긴 어렵습니다. 이때, 금융기관 B와 금리 스왑 계약을 체결합니다. A는 B에게 고정금리 5%를 지급하고, B는 A에게 변동금리(예: 6개월 코리보 + 2%)를 지급하는 조건이에요.

    결과적으로, 대출 원금은 그대로 유지하되 A는 변동금리로 이자 비용을 조정받는 효과를 얻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금리 리스크를 줄이는 게 금리 스왑의 핵심입니다.

  • 스왑(Swap)이란 두 당사자 간에 미래의 특정 시점 또는 그 이전에 일정한 금액을 교환하기로 약속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금리스왑은 두 당사자가 서로 다른 금리 지급 흐름을 교환하는 금융 계약으로 통화 간 금리스왑 또는 이자율스왑이라고도 합니다.

    금리스왑의 작동 원리는 고정 금리와 변동 금리를 서로 교환함으로써 금리 위험을 조정하거나 특정 시장 상황에서 이익을 얻기 위한 것입니다.

    A사는 고정 금리로 자금을 빌렸지만 시장 금리가 하락할 것이라 예상한다면, 변동 금리로 이자를 지불하는 B사와 금리스왑 계약을 체결하여 금리 변동의 혜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산이나 부채의 고정 금리를 변동 금리로 바꿀 수 있으며, 기업이나 금융기관이 금리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관리하는 데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