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붉은연어
붉은연어

일반 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 종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국내 서식중이고 일반 버섯과 외관상 너무 비슷하게 생긴 독버섯 종류들이 궁금합니다.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독우산광대버섯의경우 일반 정상버섯과 비슷하게생겨 중독사고가 많이나는 버섯중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개암버섯이나 주름버섯은 회색이나 흰색을띠기때문에 우리들이 흔히먹는 평범한버섯처럼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 존재하고 있는 야생 버섯은 약 2,000여 종으로 알려져 있고 그중 식용이 가능한 버섯은 400여 종이며 섭취할 수 없는 독버섯은 90여 종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심한 경우에는 생명에 지장을 주는 독버섯의 경우 식용버섯과 구별이 잘 안 되는 독버섯들도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흔히 생각하는 화려한 색은 독버섯이라는 상식은 독버섯을 구별하는 잘못된 상식인데요, 독버섯의 특징은 종류마다 각기 다르기 때문에 외형만으로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더욱 조심해야할 독버섯을 닮은 식용버섯입니다. 독버섯인 독흰갈대버섯과 닮은 큰갓버섯은 주름버섯목 갓버섯과의 종으로 버섯의 갓 부분에 나타나 있는 점의 무늬가 방사형으로 분포돼 있는 것이 특징인데요, 이에 반해 독흰갈대버섯의 점은 갓 중심부에 모여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가끔 독흰갈대버섯도 큰갓버섯처럼 무늬가 퍼져 있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이름처럼 갓과 대의 색이 모두 샛노란 노란달걀버섯은 마찬가지로 노란 빛깔을 가지고 있는 개나리광대버섯과 비슷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요, 화려한 색깔 때문에 독버섯이라는 오해를 받기도 하지만 식용이 가능합니다. 색깔과 모양 모두 매우 흡사한 이 둘은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그냥 먹을 정도로 닮아 있으며, 두 버섯은 갓의 색깔이 아주 비슷하지만 자세히 보면 노란달걀버섯의 주름살은 노란색인 반면 개나리광대버섯의 주름살은 흰색에 가깝습니다. 다음으로 싸리빗자루처럼 생겼다고 해서 싸리버섯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 버섯은 담백한 맛과 좋은 향을 가지고 있어 요리 재료로 많이 활용됩니다. 다만 독버섯인 붉은싸리버섯을 닮아 주의를 필요로 하는데요, 전체적으로 옅은 황백색을 띠며 끝부분은 담홍색에 가까운 싸리버섯과 달리 붉은싸리버섯은 전체적으로 분홍색과 다홍색이 섞인 붉은 빛깔을 띱니다. 특히 붉은싸리버섯의 색이 바래면 싸리버섯과 더욱 구분하기 어렵다고 하며 붉은싸리버섯은 복용 시 메스꺼움, 복통, 구토 등의 부작용이 있습니다.

  • 사실 상당 수의 독버섯이 식용버섯과 거의 흡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전문가들도 혼동하기 쉬운 버섯이라면 삿갓외대버섯과 붉은사슴뿔버섯입니다.

    삿갓외대버섯은 느타리버섯과 매우 비슷하게 생겼지만, 갓의 색깔이 더 밝고 주름살이 촘촘합니다. 일반인들은 구분이 거의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붉은사슴뿔버섯의 경우 딱 봐도 기괴한 외형을 가졌고 독버섯으로 보이지마, 은근히 다 자란 영지버섯과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 버섯입니다.

  • 독우산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이 있습니다. 이들은 식용 버섯과 매우 유사하게 생겨 혼동하기 쉽지만, 맹독성을 가지고 있어 섭취 시 심각한 중독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국내에서 일반 버섯과 외관상 유사한 독버섯으로는 독우산광대버섯(Amanita virosa), 알광대버섯(Amanita muscaria), 개나리광대버섯(Amanita pantherina), 독주름버섯(Inocybe spp.), 큰갓버섯(Chlorophyllum molybdites), 독버섯(Galerina marginata), 붉은사슴뿔버섯(Cortinarius rubellus) 등이 있습니다. 이들 독버섯은 외형적으로 송이, 갓버섯, 주름버섯 등 식용 버섯과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치명적인 독소를 포함하고 있어 섭취 시 간, 신장 손상이나 심한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섯 채취 시 전문가와 동행하거나 신뢰할 만한 도감을 활용해야 하며, 확실하지 않은 버섯은 절대 먹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