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6.09

물수제비시 어떻게 돌이 물위로 팅기는건가요?

물수제비를 던질때 무게가 있는 돌멩이가 물을 팅기면서 앞으로 나아가잖아요. 이게 어떠한 원리로 올라가는건가요? 과학적으로 설명 부탁드리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강력한담비205
    강력한담비20523.06.27

    안녕하세요. 박기형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에는 표면장력의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빠른 속도로 던지 물수제비가 물 표면의 표면장력에 의해 팅겨 나가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쟁이가 물 위를 걷는 것과 동일한 원리입니다.

    이를 표면장력이라고 하는데 물수제비를 할 경우 빠른 속도의 돌이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 닿고 바로 반발력에 의해 튀어 오르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 원리는 표면장력이다. 액체와 기체 혹은 액체와 고체 등 서로 다른 상태의 물질이 접해 있을 때 그 경계면에 생기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를 표면장력이라고 합니다

    물을 부엇을때 넘칠거 같은데 볼록하게 안넘치는 것도 표면장력 이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표면장력이 있구요 모든 액체는 그렇습니다 모든 물체는 무게가 있습니다. 물보다 질량이 낮으면 불가능 합니다만 그러나 물보다 질량이 낮더라도 속도가 추가되면 가능하게 됩니다 어떤물체든 물에 부디치면 반발력에의한 탄성이 생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는 물 위로 돌을 팅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것은 물수제비가 물과 공기의 경계면을 이용해 돌을 물 위로 팅기기 때문입니다.

    물수제비의 모양은 주로 두꺼운 둥근 밑부분에 얇은 뾰족한 윗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모양은 물수제비가 물과 공기의 경계면에서 물을 빠르게 이동시키는 물리적인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디자인되었습니다.

    물수제비를 사용할 때는 먼저 물을 두고, 물수제비의 밑부분을 물 속에 넣은 다음, 윗부분에 공기를 채워줍니다. 그리고 윗부분에 있는 돌의 위치를 정하고, 뾰족한 부분을 빠르게 아래쪽으로 움직여 공기를 밀어냅니다. 이렇게 하면, 공기가 물과 만나는 경계면에서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 압력이 돌을 물 위로 팅기게 됩니다.


  • 강가에서 돌이 물에 던져지면 던진 돌의 중력과 밀도와 물의 중력과 밀도 차이로 인해 일어나는 힘으로 인해 물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는 평평한면이 수면과 맞닿고, 돌이 회전하는 것에의해 물 표면으로부터 반발력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반발력과 돌의 납짝한 유선형의 모습의 약간의 양력을 만들며 멀리까지 날아가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돌이 물에서 튕기는 원리는 돌이 빠르게 회전하면서 물표면을 튕기기 때문이고, 비스듬히 던짐으로써 물표면의 수직방향으로의 힘이 최소화되어 멀리까지 날아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수제비는 돌맹이의 운동에너지가 물과의 마찰력보다 강해서 물위를 떠서 나아가는 것입니다. 물의 표면장력보다 운동에너지가 큰 이유에서이죠.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