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보험료를 낸다. 아니면 보험료 대신에 돈을 모은다?
60-70대 어르신들이 말씀하시더라구요. 보험비 실컷 낸게 아깝다고. 그 보험비를 모으고 병원비 목적으로 적금을 들어놨더라면 더 큰돈이 되었을거라고. 이것도 괜찮은 생각일까요?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료낼 돈으로 모을 자신이 있다면 그것도 괜찮은 방법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적금이나 저축을 해놓았다해도 병원비가 아닌 급한데 먼저 쓰게 되어 정작 아빠서 병원비 를 찾으려면 없어지고치료도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보험을 유지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유안나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보장을 받기 위한 상품이고, 적금은 저축을 위한 상품입니다.
보험은 만에 하나 중병에 걸렸을 때, 큰 손해가 나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함이구요,
따라서, 가장 현명한 방법은 가장 저렴하게 가입해서 90세 100세 만기까지 보장받으시는 거랍니다. :)
나이대가 젊으시다면, 청년보험, 10년 건강체 등 가장 저렴하게 가입하시고, 비갱신으로 구성하신다면,
90세 100세까지 보장받으실 수 있습니다.
저축와 보험 둘다 필요한 상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배병룡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가입 이유는 우연하고도 외래적인 사고에 대비해서 사고시 보상을받고 아플때 보상받으려고 가입하는건데
어렸을때부터 보험가입하여 나이들어 아프지 않고 건강할때 하는 말인거같습니다ㆍ
반대로 보험혜택 많이 받으시는분들도 많아요
보험회사도 이익이남아야죠
안녕하세요. 이덕원 보험전문가입니다.
큰병치례없이 지내신분들이라면 그렇게 생각할수 있지만 보험없이 큰병에 노출된분들은 젊어서 건강할때 보험가입해둘껄 생학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미래에 발생될지 모르는 위험을 대비하는 상품입니다.
보험기간 동안 사고가 나지 않는다면 손해이지만, 사고로 인하여 보험금을 지급받는다면 보험혜택을 잘받았다고 생각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결과론적인 생각입니다. 장기간 동안 위험이 발생할지 않할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현명하게 가입하기위해서는 과도하지 않은 선해서 적정한 금액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보험만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재영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을 적금?으로 드신 경우 중 멀쩡한 경우가 잘 없습니다.
말씀하신 보험은 공보험 아닌가요?
질문이 애매하니 답변도 애매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그 보험비를 모으고 병원비 목적으로 적금을 들어놨더라면 더 큰돈이 되었을거라고. 이것도 괜찮은 생각일까요?
이는 결과적으로 보험사고가 없었던 분들이 가질수 있는 생각입니다.
하지만 보험사고가 발생한 분들은 오히려 보험이라도 있어 다행이라고 하니
따라서 보험사고가 있을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맞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