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차보험 수리vs 자비로 수리 (주차중 단독사고)
1. 주차중 벽을 박아서 단독사고 발생 (모닝)
2. 이때 자동차 보험을 통해 수리를 진행할수있는가? (자차보험?)
3. 보험을 통해 수리가 가능하다면, [자차보험으로 수리하기] vs [내돈으로 수리하기] 둘중 어떤것이 유리한가?
금액별로 어떤 선택지가 유리한지 자세히 알려주실수 있는분 계신가요?
ex)
✅️수리비 50~70만원은 자비로 수리하는게 유리. 이유는 ~하기 때문이다.
✅️수리비 70~100이상은 자차보험이 유리.
이유는 ~하기 때문에.
자차 처리는 가능합니다.
자차 처리시 50-70만원 정도면 할증은 되지 않으나 사고건수 추가로 무사고할인이 없어지게 됩니다.
현재 보험료에서 무사고할인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하여 처리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2. 이때 자동차 보험을 통해 수리를 진행할수있는가? (자차보험?)
: 자차보험의 자차단독사고특약에 가입되어 있다면 자차보험으로 처리가 가능합니다.
3. 보험을 통해 수리가 가능하다면, [자차보험으로 수리하기] vs [내돈으로 수리하기] 둘중 어떤것이 유리한가?
금액별로 어떤 선택지가 유리한지 자세히 알려주실수 있는분 계신가요?
: 이는 단순히 금액별로 판단할 문제는 아니고, 현재 보험료가 얼마인지도 고려를 해보아야 합니다.
이유는 보험처리시 200만원이하의 경우에는 물적할증은 되지 않으나, 사고처리건수 할증이 일부붙게 되고, 3년간 할인혜택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현재 보험료가 얼마냐에 따라 할증금액과 할인을 못받는 간접손해를 같이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상기를 고려했을 때 통상 50만원 이하의 금액의 경우에는 자비처리가 유리합니다.
이는 자차처리시 최소 자기부담금이 20만원이 있어, 50만원일 경우 실제 보험처리금액은 30만원으로 할증및 할인유예금액을 비교했을 때 자비처리가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단독사고라도 자차 보험으로 처리가 되고(단독 사고 보상 특약에 가입이 되어 있어야 하며 자차 보험 가입시
같이 가입이 됩니다)
수리비가 어느 정도여야 보험처리가 유리한지는 질문자님의 보험료를 알아야 정확한 계산이 되고 기존의
할인받던 금액이 확인이 되어야 합니다.
다만 보험료가 극히 낮은 금액이 아니라면 보통 50만원 이하인 경우 자차 보험으로 처리할 때에 최소 자기부담금
20만원은 사비 부담 나머지 30만원만 보험 처리가 되기에 사비 처리가 낫습니다.
50만원 이상이라 하더라도 보험 처리보다 3년간 할인 유예가 되는 금액이 크면 사비 부담이 좋을 수 있는데
현재 상황에서 확인이 어려운 경우 일단은 보험 처리한 후에 갱신 시에 사고를 그대로 안고 가는 보험료와
보험 처리된 금액을 환입처리한 후 무사고로 산정되는 보험료를 비교한 후 유리한 쪽으로 진행하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