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국에서 중산층의 수준은 어느정도인가요?

한국은 어느 순간부터 평균 올려치기의 현상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괜찮은 연봉임에도 하층민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요. 그렇다면 실제로는 한국에서 중산층의 수준은 어느정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선진국의 경우 중산층에 기준을 돈으로 두지않습니다. 우리나라만 그런것입니다.

    보통 현금 10억, 월급 500이상에 아파트정도로 얘기들합니다

  • 2024년 가구 순자산은 6억4000만원이라는 기사를 보았습니다. 하지만 중산층의 45%정도가 이 순자산에 미치지 못한다고 하는데 이것을 보면 중산층 내에서도 자산의 양극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중산층 정의는 어디에서 진행 하느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4인 가족으로 중위 소득 100%에 해당하는 월570만원 정도의 소득을 올리면 중산층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주택 등 자산 보유 현황 등은 별도의 기준이 필요하겠습니다.

  • 우리나라의 중산층 수준이라고 한다면 예금이나 적금과 같은 금융자산과 부동산 자산을 합하여 10억원 이상 보유를 하고 있으며 연 소득이 7천만원 수준을 보여요

  • ✅️ 중산층의 기준은 사람들마다 생각하는게 다른데 일반적으로 빚이 없고, 적어도 돈 때문에 뭔가 하고자 하는 것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면 중산층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NH투자 증권에서 한 설문에 따르면 4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686만원 정도 되어야 중산층이라고 말한 사람들이 가장 많았고 OECD에서 정한 중산층의 기준은 중위소득의 75~200% 내외로 384만원에서 1024만원 구간에 해당하는 사람들이니 참고하세요.

  • 질문해주신 한국의 중산층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한 답변입니다.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전체 가구 순자산이 약 2억 2,500만원 수준이기에

    이를 기준으로 중산층의 정의를 내려보면

    중산층은 약 1억 7,000만원의 자산에서 시작해서 약 4억 5,000만원 정도의

    순자산을 보유한 가구로 볼 수 있습니다.

  • 2023년 7월 기준으로 기획재정부가 중산층과 고소득자를 가르는 기준으로 총급여 7800만원, 즉, 전체근로자 평균임금의 200% 이하인 자라고 정의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