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정중한날다람쥐151
정중한날다람쥐151

피카레스크식의 소설을 옴니버스라고 잘못알고 있었나요?

흔히 비슷한 내용의 짧은 소설들을 한 작품으로 묶어 나온 소설들을 옴니버스소설이라고 통칭하는 것으로 알았는데요.

우리가 알고 있는 옴니버스 소설 중에는 피카레스크식 소설도 있다고 하던데 완전히 다른 작품형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수한낙타174
    순수한낙타174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피카레스크식 구성이 인물과 배경이 동일하면서도 일어나는 사건이 각기 다른 것에 비해 옴니버스식 구성은 일어나는 사건뿐만이 아니라 인물과 배경도 전혀 다른 독자적인 이야기를 한데 묶어 놓은 구성을 뜻합니다.

    피카레스크식은 시리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피카레스크식 구성은 단순 구성이나 복합 구성처럼 통일성 있게 짜여 있는 구성이 아니라, 각각의 독립된 이야기들이 연속해서 전개되는 구성 방식입니다. 이 때 각가의 이야기들은 독립해 있으면서 전후맥락이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구성은 16세기 중엽에서 17세기에 걸쳐 유행했던 악한 소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같은 소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옴니버스는 원래 '합승마차'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옴니버스식 구성은 마치 합승마차가 승객이나 이동의 목적은 달라도 크게 보면 하나의 종착역을 향해 달리는 것과 같이 서로 작은 주제와 인물이 다르다고 해도 거대한 동일한 주제를 공유하는 구성방식입니다.


    서로 유사해 보이는 이 두 가지 구성의 차이점은 피카레스크식 구성이 독립된 각각의 이야기에 동일한 인물이 등장하여 여러 가지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인 반면에, 옴니버스식 구성은 서로 다른 중심인물이 등장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두 방식은 조금 다릅니다. 우선 피카레스크식 구성은 독립된 각각의 이야기에 동일한 인물이 등장하여 여러 가지 이야기를 전개하는 구성방식이구요. 하나의 주제나 제목 아래 몇 개의 독립된 이야기가 모여 있다는 점에서 옴니버스식 구성과 유사하지만 옵니버스 구성은 서로 다른 주인공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작품들의 관계가 옴니버스와 피카레스크 방식으로 구분될 수는 있지만, 이들 모두 연작 소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