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유독 엄마만 좋아하는 경우 있나요?
유치원생인데도 엄마만 유독 좋아해요. 자기만의 마음의 순서가 있는지 엄마, 할머니, 할아버지 이렇게 순서대로 사랑이 있는게 너무 눈에 보이게 느껴져요. 그래서 엄마가 있다면 나머지 둘에게는 소홀하고, 엄마가 부재중이면 할머니, 이런식으로요. 아이니까 괜찮은건가요? 아니면 모두에게 사랑을 줄 수 있게 하는 양육 방식은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유독 엄마만 좋아하는 이유는 주 양육자가 엄마이기 때문 입니다.
하루 중 모든 시간을 엄마가 함께 하였다면 아이는 자연스레 엄마를 더 좋아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이에게 할머니, 할아버지, 아빠 역시도 엄마 못지 않게 너에게 사랑과 관심을 주고 있어 라는 것을 행동과 언어로 자주 표현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아이가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말이지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애착 관계가 엄마와 주로 형성되어서 그렇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이러한 애착 관계를 유지 중이며, 정상적인 과정입니다.
할머니, 할아버지, 아빠와도 함께 있는 시간을 늘려주세요
함께 놀아주고, 감정 표현도 많이 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특정 시기에 유독 엄마에게만 애착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엄마와의 친밀한 유대감이나 아이의 정서적 안정감을 찾으려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유독 엄마를좋아하는 경우는 엄마와의 유대감이 깊거나 엄마와 같이 있는 시간이 오래될경우 엄마만 좋아할수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특정 가족 구성원에게 더 애착을 가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에요. 다양한 활동을 통해 다른 가족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면 좋습니다. 부모가 먼저 긍정적인 관계를 보여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특정 가족 구성원에게 더 애착을 가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그러나 다른 가족과도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우려면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유대감을 키워주세요.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엄마에게 유독 더 큰 친밀감과 사랑을 느끼는 건 당연한 얘기입니다
엄마와의 유대감이 더 크다고해서 실망하실 필요없어요
다른 가족 구성원들도 엄마만큼 아이와 시간을 보내고 아이에게 관심을 갖고
행동한다면 아이도 해당구성원과 충분히 유대감을 기를 수 있는 기회가 될 겁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유치원생 아이가 엄마만 유독 좋아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일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애착 형성 과정에서 자신이 가장 안전하다고 느끼는 대상을 우선시하며,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 넓은 관계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모든 가족에게 사랑을 표현하도록 강요하기보다는, 할머니나 아빠와 함께 특별한 활동을 하며 자연스럽게 관계를 쌓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엄마가 다른 가족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는 가족 전체와 더 깊은 관계를 맺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