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건강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13

코로나 바이러스 사멸 여부 문의

나이
52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감기약
기저질환
없음

코로나 확진후 증상이 약해서 종합감기약만 먹고 있어요.

7일 정도 지났고 상태가 많이 좋아졌어요.

바이러스는 저절로 소멸하나요?

자가진단검사로 꼭 확인을 해야 하나요?

한번 걸리면 항체가 생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옥영빈 응급의학과 전문의blue-check
    옥영빈 응급의학과 전문의22.08.17

    1. 현재 우세종인 오미크론 및 켄타우로스 변이는 감염 후 5일이 경과되면 전염력이 많이 사라지게 되며, 7일 정도 경과 하면 사실 상 전파력이 없다고 통계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7일간 격리를 하고 나면 거의 전파력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일상 생활에 복귀하여도 됩니다. 하지만 낮은 확률로 전염력이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3일간은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자가진단검사를 할 필요는 딱히 없으며 검사에서는 한동안 양성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3.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이 되면 항체가 생기지만 이는 백신 접종 후 생기는 항체와 마찬가지로 일정 기간 동안 지속되며 시간이 경과하면 서서히 역가가 감소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현재 확진 후 7일뒤에 격리해제하는 배경은 그 정도 시일이 지나면 바이러스 배출이 거의 없고 전염력이 없다고 알려져있기 때문입니다. 격리 해제할 때 추가 검사는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확진 후 2~3주간은 지속적으로 양성으로 나옵니다.

    걱정되신다면 마스크 잘 착용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코로나 19 감염 후 약 10일이 지나면 바이러스 배출과 전파력은 급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약 5일간 배출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몇몇 국가에서는 격리기간을 더 단축중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로도 바이러스는 배출될 수 있으며 전파력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사멸된 바이러스로 인해 검사상 양성으로 확인될 수도 있기에 확진 후 재검사를 시행할 필요는 없으나 드물게 전파력이 남아 있을 수 있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확진된 후에는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재감염 시킬 수 있습니다.


  • 코로나는 바이러스이므로 증상에 대한 대증치료가 기본입니다.

    열이 나면 해열제를 먹고 기침이 나면 기침약을 먹는 식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감기증상이라면 종합감기약을 복용하시면 되며, 증상이 없다면 복용하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바이러스는 저절로 소멸하나 다만 전파력이 없더라도 사체가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어

    검사 결과상 1달 이후까지도 양성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격리해제시점에 자가진단 검사는 의미가 없습니다.

    한번 걸리면 항체가 생성되어 3-6개월 까지는 재감염율이 극히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네 바이러스는 증상시작을 기준으로 8일이 지나면 다른 사람에게 전파가 불가능할 정도로 활성이 떨어진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시간이 더 지나면 완전히 사멸하구요.

    격리가 풀리고나서 초기에는 전파는 되지 않는데 활성을 잃은 바이러스가 검사에서 검출될 수 있기때문에 굳이 검사로 확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용성 의사입니다.

    저절로 소멸하는건 아니고 그 시간동안 몸이 방어/항체생성을 하기 ㄸㅐ문에

    더는 몸에서 증식을 못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