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분리증으로 인한 척추유합술 후 핀제거
척추분리증으로 인한 척추유합술 후 골유합이 되어 핀제거를 하게 되면 분리된 후궁 협부가 나사못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 다시 척추가 불안정해지나요?
전방전위증은 수술을 통해 골유합이 이루어지면 완치가 되지만 분리증은 죽을 때까지 완치가 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김덕현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분리증으로 인한 척추유합술 후 골유합이 이루어지면, 핀 제거 후에도 나사못으로 고정된 부위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후궁 협부가 분리된 상태라면, 추가적인 불안정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척추분리증은 완치가 어려운 경우가 많긴하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로 치료할수있습니다
자세한건 병원에서 전문의와상담을받아보시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의균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 분리증에 대한 척추유합술을 받게 되시면 분리된 척추 후궁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 못, 플레이트등을 사용하게 되며 이 수술의 목적은 골유합을 촉진하여 척추를 안정시키는 것이 목표로 분리된 부분의 뼈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것입니다.
골유합이 완료되면 후궁 협부에 나사못이나 다른 기구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안정적이 되며 핀이나 나사 못 기타 다른 기구들을 제거하여도 척추는 다시 불안정해지지 않습니다.
척추 분리증은 척추 후궁의 분리를 의미하며, 이 상태는 디스크의 손상이나 전방전위가 없으면 생명에 위협을 주지는 않으며 후궁이 분리된 상태로 완치되기 어렵다고 여겨집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유합술 후 핀 제거 시 골유합이 잘 이루어졌다면 후궁 협부의 불안정성은 크게 증가하지 않지만 개별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전방전위증은 수술 후 골유합이 이루어지면 증상이 개선될 수 있지만 척추분리증은 완치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 후의 상태와 회복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현태 물리치료사입니다.
척추분리증의 유합술 이후 핀이나 나사를 이용해 고정하는 경우에는 감염이나 염증을 일으키거나, 고정위치에서 크게 벗어나 연부조직이나 내부 장기등을 침범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제거를 하지 않고 내부에 남겨두어도 크게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