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올곧은재칼30
올곧은재칼30

선물을 숏으로잡을떄 증거금율이 높아지면 강제천상당해서 자산 잃는건가요 ??

선물을 어떻게 이용해야할지 잘모르겟는데 숏으로잡았을때 금액에 도달해도 증거금율이 높아지면 그냥 돈을 다잃는 시스템인건가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선물 거래에서 숏 포지션을 잡는다는 것은 자산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고 매도 계약을 체결하는 것입니다.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이익을 얻고, 반대로 상승하면 손실이 발생합니다.

    선물 거래는 레버리지를 이용하여 적은 자본으로 큰 거래를 할 수 있지만 그만큼 손실 위험도 큽니다.

    거래를 시작할 때는 증거금을 납부해야 하며 자산 가격이 예측과 다르게 움직여 손실이 발생하면 추가 증거금을 요구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추가 증거금을 납부하지 못하면 거래소나 브로커는 계좌를 강제 청산하게 됩니다.

    강제 청산이 이루어지면 남은 자산이 거의 없거나 심지어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습니다.

    증거금율 상승은 시장 변동성이 커지거나 위험이 증가할 때 발생하며 같은 거래를 유지하려면 더 많은 증거금이 필요해집니다.

    증거금을 충족하지 못하면 강제 청산되며 자산을 잃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물 거래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레버리지를 신중하게 사용하고 손실 한도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증거금율이 높아지면 계좌에 더 많은 자금을 유지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것이 곧바로 자산을 잃는다(청산)는 뜻은 아닙니다. 만약 계좌의 자금이 유지해야 하는 최소 증거금 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추가 자금을 넣으라는 마진콜을 받게 됩니다. 이 마진콜에 응하지 않으면, 보유 중인 포지션이 강제로 청산될 수 있습니다.

    숏 포지션(매도 포지션)은 30%의 증거금 하한율과 70%의 증거금 상한율이 적용됩니다. 이 비율을 벗어나면 추가 자금을 넣으라는 요청이 오거나, 증거금이 반환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증거금율이 상승한다고 해서 자동으로 자산을 잃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충분한 자금을 유지하지 않으면 강제청산의 위험이 커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선물 거래에서 숏 포지션을 잡을 때 증거금율이 높아지면, 시장이 반대로 움직일 경우 강제 청산을 당할 수 있습니다.

    강제 청산이 되면 증거금으로 걸어둔 자산을 잃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산의 대부분을 잃을 수 있습니다.

    특히 숏 포지션을 잡았을 때 시장이 예상과 다르게 오르면 증거금을 추가로 요구받을 수 있으며 이를 채우지 못하면 강제 청산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선물 거래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해당 부분을 청산이라고 하는바 만약에 증거금이 0이 된다면 이에 대하여 시장가로 매도를 진행하고 포지션이 없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선물은 해당부분을 고려하여 매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거금율이 높은 것이 아니라 금액에 대한 포지션 비율입니다.

    10배보다 100배가 청산금액기준이 더 낮아 조금만 변동해도 청산 당하게 되고

    비율이 낮을 수록 청산 기준이 높아져 청산이 잘 안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증거금율이 올라 원금까지 잃을 상황이라면 강제청산됩니다. 그 이상의 손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