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5.15

학계에서 역사와 야사는 어떻게 구분하나요?

역사에 실제 고증된 역사와 야사로 구분하는거 같은데 이 두가지를 어떻게 구분하나요?? 야사도 실제 역사로 인정될 수 없는 어떤 이유가 있는건가요? 그리고 이러한 기준은 누가 정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5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야사는

    관에서 편찬한 정사와 대립되는 민간에서 저술한 역사. 야승·패사·외사·사사입니다.

    야사는 재야인(在野人)이 저술한 역사, 즉 사찬(私撰)의 역사를 말하며, 관(官)에서 편찬한 역사, 즉 정사(正史)와 대립되는 의미로 쓰여 야승(野乘) 또는 패사(稗史)·외사(外史)·사사(私史)라고도 하였다.

    야사는 주로 풍속·전설을 취급함으로써 정사의 결함을 보완해주거나 오류를 시정해주기도 하며, 어떠한 의미에서는 정사보다도 더 시대상을 잘 반영해 준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더 중요할 때도 있다.

    역사라는 것은 단순히 특정 시간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기에, 현재를 포함해 미래까지 이어지는 변화의 과정이라고 이해하면 가장 쉽다. 단순히 과거의 일을 공부하는 것은 고고학이나 인류학도 있으며, 가장 기본적인 역사의 정의는 시간에 따른 인간생활의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앞의 선택과 재구성(고고학)은 '기록으로서의 역사', 뒤의 인간과 변화(인류학)는 '사실로서의 역사'를 의미하는 문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생활변천을 나타내며, 이를 증거할 만한 문자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시대는 선사시대라고 구분하여 그 이후(역사시대)와 별칭한다. 일반적으로 문자의 사용 시작은 청동기시대 이후로 보지만 국가나 지역에 따라 그 연대가 달라질 수도 있다. 다만 자체 기록이 없더라도 인접국의 기록이 있다면 어떻게든 유추가 가능하며, 유목민족 같은 경우에는 그 시초와 소멸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다.

    역사를 연구하는 것을 역사학 또는 사학이라고 하며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은 개개인마다 현상을 보는 것이 다르므로 매우 다양하며 개인이나 일개 집단이 일률적으로 현상을 정의 내릴 수 없다. 역사를 연구하거나 바라볼 때에는 비판적인 시각을 기준으로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봐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야사 [野史]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나무위키 역사


  • 안녕하세요. 이홍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사와 야사 구분은 과거 왕조시대 조정에서 편찬한 사서이냐 아니냐의 차이로 그 두가지를 구분한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