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이미지
기타 고민상담고민상담
정중한호랑이293
정중한호랑이29322.03.04

직장 선배와의 극심한 갈등 때문에 괴로워요?

직장에서 선배와의 마찰이 너무 심해서 스트레스 가 너무 심해서 잠을 못잘 지경 입니다.대화도 시도 해보았지만 너가 문제다 라고만 하고 본인은 아무런 문제도없다하니 답답하네요.그래서 혹 내가 문제인지 해서 주변에 물어봐도 문제가 없다고 합니다.이럴때에는 제가 어떻게 해야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신영 심리상담사입니다.

    선배와의 갈등으로 대화를 시도해 보았는데 선배분께서는 아문제 없다고 잘라 말하였다면 현재는 말을 또 해봤자 큰 소득을 보지 못하실 것입니다. 당연히 대화를 하여 푸는 것이 가장 좋은데 현재 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선배분과의 관계가 순간적으로 좋아질 때가 있으실 것입니다. 그 때를 이용하여 선배분에게 진지하게 갈등 상황에 대하여 어려움이 있다며 대화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주변 사람들도 질문자님이 문제가 없다고 인정을 했으니 너무 마음 쓰지 마세요

    그 상사분이 기분이 좋을 때 정확히 물어보세요,

    나의 문제점이 뭔지 알려달라고, 고칠테니 꼭 알려달라고 말씀드려보세요

    노력을 했는데도 계속 스트레스를 주면 질문자님도 상사를 그냥 공적인 존재로만 여기고 사적으론 손절하셔야 할 것 같아요.


  • 안녕하세요. 안장이심리상담사입니다.

    직장 상사와 대립각은 될 수 있으면 피하는게 좋아요

    대화와 타협이 잘 안 이뤄질 수 있거든요

    나의 입장에서는 일을 받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대신 나에게 주어진 일을 완벽하게 처리한 후

    좋은 피드백을 받아보세요

    사업 실적이나 결과물이 인정해주고 결정해줍니다

    너무 많은 대화를 나누려고 하지 마시고 중립적인 태도로 얼마간의 간격을 두는 것도 좋아요

    정말로 나의 가치가 인정될 상황에서는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해보세요

    항상 응원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원석 심리상담사입니다.

    서로 대화를 통해서 해소하실 수 밖에 없습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오해와 갈등이 생길 수 있기에

    충분한 대화를 통해서 내가 생각했던 것과 상대방이 생각했던 것 등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할 시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심리상담사입니다.

    위의경우 처럼 대화가 단절된 경우라면

    직장상사에게 이러한 문제를 이야기하고 관계를 어느정도 적당하게 유지하도록 하는것이 좋습니다

    이미 소통을 했는데도 통하지 않는다면 실제로 방법이 없다고 볼수있으며

    부서를 이동하거나 혹은 관계에 대해서 선을 유지하거나 하는등

    스트레스 요인과 차단을 하는것이 가장 좋을수있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선배분과 진지한 대화를 나눠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본인이 힘든점 내가 잘못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술이나 한잔 커피라도 한잔하면서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눠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갘네요


  • 안녕하세요. 이진성 심리상담사입니다.

    그렇군요 상사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많이 있는것 같습니다.

    보통은 상사와 갈등이 있더라도 그러려니 하고 회사를 다니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 생각에는 일을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일을 하는것으로 인하여 내가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면

    나를 보호하기 위해 부서이동, 휴직, 이직 등의 옵션을 사용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대화를 통해서도 해결되지 않으면, 업무매뉴얼대로 진행하거나 선배의 지시에 따라 업무를 진행한 뒤에 그 책임을 선배에게 넘기시면 되겠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1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상사와의 의견 충돌이나 불만을 직접 해결하기 어려워 상사의 상급자에게 면담을 요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니면 인사부서에 '전보'를 요청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에는 한마디로 '같이 죽자!'입니다.

    부서를 바꿔달라고 요청해도 상사와 의견 충돌을 원만하게 해결 못하는 직원을 받고 싶어 하는 부서는 없습니다. 생각보다 조직은 보수적입니다. 수평조직이라 하더라도 상급자와의 단순 의견 충돌과 업무 스타일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달려가면 오히려 조직 부적응자로 낙인찍히기 쉽습니다.

    상사의 상사에게 달려갈 때에는 타당한 명분과 근거가 있는지 체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이 이상하신게 아닙니다.

    그리고 누군가와 헤어질 때에도 아쉬움도 크고 미련도 있고

    힘든 것도 누구에게나 다 있는 감정이니 너무 걱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누군가와 새로운 만남을 추구하고 대인관계를 넓힐 때에

    누구나 다 걱정이 됩니다.

    그래도 다른 사람을 만날 때에 너무 스트레스를 받지 마시고 시간이 해결해줄 것이다라고

    생각을 하시고 만남을 추구하신다면 조금 나아질 것으로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이찬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 입니다.

    현대인들에게 직장 내 스트레스는 필연적입니다.

    직장 상사와의 갈등.. 직장 내 스트레스 같은 것들은

    외부의 누군가가 해소 시켜 주기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그러한 직장 내 문화나 직장 선 후배의 성향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주변 직장 동료 분들의 도움이 절실하겠네요.

    뿐만 아니라 직장 내 고충 처리 부서 혹은 창구 같은 것들이 있다면

    적극 이용해 보시는 것도 좋아 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