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20-30대라면 투자 비중은 얼마가 좋을까요?

20-30대라면 아직 사회생활을 할 시간이 많기에 투자비중을 높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20-30대라면 투자 비중은 얼마가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0~30대는 사회생활 초기로 소득이 꾸준히 발생하고, 앞으로 경제 활동을 할 기간이 길기 대문에 위험 자산의 투자 비중을 높게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이고 합리적인 전략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고,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으로부터 회복할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사회 초년생이라면 월 소득의 일정 부분을 먼저 저축하고, 나머지 소득에서 투자 비중을 정하는 것이 현실적입니다. 전문가들은 보통 월 소득의 50% 이상을 저축 및 투자에 할당하라고 조언하기도 합니다. 이 중 투자에 배정된 금액에서 위험자산과 안전자산의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총 자산 대비 위험 자산 비중을 60~80% 수준으로 가져가는 것이 일반적이며, 나머지 20~40%는 예적금, 단기 채권 등 안전 자산으로 유지하여 유동성을 확보하고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 것을 추천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의 20~40% 수준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정지출, 비상금 확보를 먼저하고 남는 자금으로 투자비중을 조절하시기 바라며 사회초년생이라면 소액부터 ETF, 적립식 투자로 경험을 쌓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20~30대라면 개인적으로는

    투자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상당히 많아

    공격적인 자산에 70% 이상을 투자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정답은 없으나 개인적으로 70프로이상도 충분히 투자비중을 늘리되 적립식으로 운용해도 된다고 보이며 저도 그렇게 해오면서 비중을 늘려왔습니다

    예금은 오직 파킹통장으로 운용중이며 위험자산인 주식과 비트코인에 70프로이상이며 채권이나 리츠는 20프로정도입니다

    주식은 국내주식과 해외주식을 각각 운용하면서 주로 섹터 ETF에 투자를 늘리면서 일부 확신이 있는 종목만 투자하는 형태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2-30대라면 투자 비중이 얼마나 되어야 좋을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2-30대라면 비교적 젊으신 나이이기 때문에

    조금은 공격적인 퍼센티지를 투자에 넣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월 소득액의 50퍼센트까지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투자에

    넣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근 경제전문가입니다.

    2030세대라면 위험자산(주식+가상자산+하이일드채권)비중을 50~70٪정도로 관리하는걸 추천하고요.

    투자비중을 극단적으로 키우더라도

    미국채와 금 비중을 20%정도 가지고 가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20~30대는 장기 성장이 가능하므로, 전체 자산으 ㅣ60~80%까지 주식, 가상자산 등 성장형 자산에 배분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단, 암호화폐, 성장주 등 신흥 자산은 전체의 10~20% 이내에서 분산 투자회되, 리스크 감내 수준과 필요 자금에 따라 조정하세요. 공격적인 투자와 동시에 생활비, 비상금 확보는 필수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개개인의 소득 수준과 재산, 그리고 가용자산에 따라 다를 수 있는데요. 사회생활을 할 시간이 많이 남아 있더라도 모아둔 자금이 없어서 가용자산 중에서 최대한 쓰더라도 20대라면 약 20% 정도일 것이고, 30대라면 50%가 넘을 수 있습니다. 적정 수준은 가용자산의 약 40% 정도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