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말끔한발발이89
말끔한발발이8922.12.28

연말정산 많이 받는 꿀팁 부탁드립니다.

직장인인데 연말정산 많이 받는 꿀팁이 궁금합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정확한 설명부탁드립니다.어떤 사람은 많이받고 어떤 사람은 토해내야 하는지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 입니다.

    근로소득자의 연말정산시 절세를 위해서는 1)과세기간말 현재의 부양가족 대상자 미리 챙겨보기,

    2)자녀가 있는 경우 자녀 교복 영수증 챙기기, 3)시력교정용 안경 및 콘택트렌즈 구입영수증 챙기기,

    4)기부금 영수증 챙기기, 5)연금계좌세액공제 대상 연금저축 가입 및 개인형 퇴직연금 가입하기

    등의 방안을 적극 고려혀 보시기 바랍니다.

    소득공제는 근로소득금액에서 차감되는 항목인 인적공제, 국민연금보험료 및 국민건강보험료 공제,

    주택자금공제, 개인연금저축공제, 노란우산공제,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에 대한 소득공제 등을 말하며,

    세액공제는 소득세 산출세액에서 공제되는 보험료 세액공제, 의료비세액공제, 교육비 세액공제,

    기부금세액공제, 월세액 세액공제, 주택자금 차입금 이자세액공제 등을 말합니다.

    연말정산 결과 소득세 결정세액이 매월 원천징수한 세액보다 더 많은 경우 세액 추가 징수를,

    더 적은 경우 세액 환급이 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소득공제는 소득에서 공제되는 항목을 말합니다. 소득공제의 절세효과는 공제되는 소득금액 x 종합소득세율입니다. 세액공제는 세액을 구한 후, 세액에서 직접 공제되는 항목을 말합니다.

    직장인이 계획하에 연말정산 공제를 받을 수 있는 대표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의 공제항목만 잘 활용해도 충분한 절세가 가능합니다. 1번의 절세효과가 가장 큽니다.

    1. 개인연금계좌나 개인퇴직연금계좌(IRP)은 연간 불입금액의 16.5% 혹은 13.2%의 세액공제를 적용받을 수 있는 절세상품이며 노후대비 상품입니다.

    연간 개인연금계좌는 최대 400만원, 개인연금계좌+개인퇴직연금(IRP)계좌는 최대 700만원까지 불입하면 연말정산시 세법상 최대로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유가 되신다면 개인연금계좌에 400만원, 개인퇴직연금(IRP)계좌에 300만원을 불입하시거나 개인퇴직연금계좌에만 700만원을 불입하셔도 됩니다. 불입금액의 16.5%(총급여 5,500만원 초과자는 13.2%)를 세액공제 받을 수 있어 연간 최대 700만원을 불입할 경우 1,155,000원까지 세액에서 공제가 가능합니다.

    2. 현금영수증이나 체크카드의 소득공제율(30%)이 신용카드 공제율(15%)의 2배이므로 되도록이면 현금이나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현금영수증, 신용카드 등의 소득공제를 받으려면 총급여의 25%를 초과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그 이하로 사용한다면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현금영수증 등의 지출액이 총급여의 25%를 초과할 경우, 최저사용금액인 총급여 25%는 신용카드 사용분부터 적용이 됩니다. 따라서 신용카드를 총급여의 25%까지 사용하셔서 신용카드의 다양한 혜택을 보시고, 그 이후부터 체크카드나 현금영수증을 사용하셔서 소득공제율은 30% 적용받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입니다.

    3. 무주택자이시면서 세대주라면 주택청약 불입액(연 최대 240만원 한도)의 40%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 240만원까지 납입을 한다면 96만원의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그 외, 일정한 요건에 해당하신다면 전세자금대출의 원리금 상환액이나 주택담보대출의 이자상환액, 월세납입액 등에 대해서 공제가 가능합니다.

    4. 국세청에서 조회되지 않는 의료비/교육비/기부금 등은 스스로 챙겨서 공제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