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23.09.23

미국과 기준금리 차이시 경제위기로 가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2프로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보통 이런 상황에서 외화 유출로 인한 금융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아 보입니다. 실제 그렇게 될지 궁금합니다. 만약 그런 가능성이 적다면 어떤 이유 때문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가 너무

    많이 차이나고 지속될 경우

    원달러환율이 계속 높고 외화자본 유출이

    우려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이만큼 외화자본이 유출되고 그로인해 환율이 상승해 수출기업 경쟁력이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과 미국은 대체적으로 한국이 금리가 더 높은 시장으로 형성이 되어있었지만, 현재는 미국의 금리가 더 높은 상황으로 그 기간이 장기화 되고 있습니다. 외화유출 등의 우려가 있고, 실제로 미국은 금리를 높임으로서 자금을 자국으로 끌어들이는 여러가지 힘들이 있을 것입니다. 다만 단순히 금리차이로만을 가지고 우리나라의 경제위기가 닥칠것이라고 예상하기는 힘듭니다. 그만큼 우리나라가 그정도의 내용만으로 경제위기가 닥칠만한 경제력을 가진 국가는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 금리는 한국의 기준금리 3.5% 대비 2% 높은 5.5%의 기준 금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차이가 유례가 없으나 한국 내 외자 자본 유출에 따른 외환 위기 또는 경제 위기로 번질 가능성이 높지 않습니다.

    미국 기준 금리 보다 높은 주요 국가들은 많지 않고 일본은 심지어 아직도 제로금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어는정도 환율상승은 불가피하지만 긍융위기로는 가지 않을 겁니다. imf를 겪으면서 외환보유고를 충분히 쌓아두었고, 금융이 선진화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벌어졌던 것은 이미 1년 가까이 경과하고 있다 보니 이로 인한 문제점인 달러환율의 상승은 겪고 있는 상황이에요. 지금 중요한 것은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인상만 발생하지 않는다면 환율의 상승은 제한적일 것이라 보여서 외화 유출이 심각할 것이라고 보이지는 않아요